시황공부

2022.04.19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yunms0321 2022. 4. 19. 09:54

안녕하세요. 주식/경제를 공부하면서 시황에 대한 부분과 삼프로 TV를 보고 정리한 내용들을 포스팅합니다.

출처 : 네이버 증권

 

 

 

《박병창의 마켓인사이트》

출처 : 삼프로TV

 

◈ 전일 해외 시장 흐름과 특징 ◈

> 나스닥 -0.14% (13,332p) / 다우 -0.11% / S&P500 -0.02%

​> WTI 107.02$ / 달러인덱스 100.8 / 원화 1,235원 / 위안화 6.367위안

> 10년만기 국채 수익률 2.857% / 2년 만기 2.445% / 3개월 만기 0.77%

> 특징:

· 장중 등락 반복 후 약보합권 마감

· 마이크론, 테슬라, 인텔, 엔비디아 상승으로 지수 방어

· 불라드 총재 강한 긴축 주장 → 국채 수익률 상승

· 러시아군, 돈바스 지역 집중 공격 시작 → 달러인덱스, 유가상승

◈ 전일 국내 시장 흐름과 특징 ◈

> 코스피 -0.11% (2,693P) / 코스닥 -0.67% (918P)

> 수급 : 개인 +1,058억 / 외국인 -984억 / 국내기관 -197억

////////// (투신 +370억, 연기금 +389억)

////////// 외국인 선물 +4,904억 / 프로그램 -580억

> 특징 :

· 약세 출발 → 외국인 선물 매수 → 반등 (제한적)

· 사회적 거리 두기 해제 : 백화점, 화장품, 편의점 등 상승

·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상대 강세 / 엔터주, 게임주 약세

· 밀, 옥수수 가격 급등 → 농업, 비료, 사료 등 강세

◈ 오늘 시장 전망과 투자전략 ◈ 

이번주는 20일 ~ 21일 가장 중요

20일, 테슬라 실적 발표, 중국 LPR 결정

21일, 파월, 라가르드 총재 연설 / 연준 베이지북 발표

테슬라 실적 → 빅테크 병동성 / IMF, WB 전망 → 시장 변동성

→ 관망, 선물 연계 거래, 종목 장세

최근 한 달

외국인 순매수 : 클래시스, LG이노텍, 현대중공업, S-OIL

개인 순매수 :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네이버, HMM, 카카오

◈ 시장 이슈 ◈ 

1. 중국 1분기 GDP 4.8%

시장 예상치 상회 / 국가 고정자산 투자 +9.3% 증가

인프라 투자 +8.5% / 소매판매 -3.5% / 주택판매 -22.7%

→ 연간 목표 5.5% 달성 적신호, 경기 둔화 우려, 부양 정책 기대

2. 중국 금융완화 정책 기대 속 CPI 상승 우려

돼지고기, 옥수수 가격 상승 / 15일 지급준비율 0.25% 인하 /

3월 1.5조 위안 특별 채권 발행 / 20일 LPR 금리 인하 전망

3. 중국 도시 봉쇄, 국내 유통 기업, 공장 타격 (이랜드, 파리바게트, BBQ,

풀무원, 아모레퍼시픽, 코스맥스, 농심, 삼양, 오리온 등)

4. EU 최후 카드 '러시아 석유 수입 금지' 논의

프랑스 대선 고려 4월 말 ~ 5월 초 논의

독일 석유 수입의 34% → 초강수 조치

5. 삼성디스플레이, 아산 6세대 OLED 공장 장비 반입 시작

3분기 가동 계획으로 장비 발주, 약 1조 원 규모 설비 투자

6. 테슬라 자율주행 칩, 삼성전자 수주 유력 - 한국 경제 신문

TSMC 추격 계기로서의 의의

7. WB, 글로벌 성장률 하향 4.1% → 3.2%

원자재, 농산물 가격 급등으로 신흥국 중심 하향 폭 확대

8. 미국 3월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생산량 +7.8% → 회복 기대

 


● 미국 증시 코멘트

출처 : eBest Global Market Daily / 시황정보 리포트(네이버 증권)

 

 

- 주요 지수는 뚜렷한 방향 없이 좁은 박스권 내에서 등락을 보이다 약보합 마감

 

- 미 국채 금리는 10년물 소폭 상승한 반면 2년물은 소폭 하락

 

- 유가가 소폭 상승 마감. 지정학적 리스크가 지속되는 가운데 리비아 국영 석유 시설에 총리와 석유 공사 사장 퇴진 요구 시위대 난입으로 생산 차질 발생 영향

 

- 더불어 미국 천연가스 급등(6.4%). 미국의 천연가스 공급량이 전년동기대비 20% 이상 부족한데다, 이례적으로 추운 날씨, 대체재인 석탄 가격 상승 등이 원인

 

- 세계은행(World Bank)2022년 글로벌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4.1%에서 3.2%로 하향.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영향을 언급했으며, 유럽과 중앙아시아를 가장 크게 하향조정. 또한 에너지, 비료, 식품 가격 상승으로 인해 개발동상국의 상황을 우려한다고도 밝힘. IMF도 경제 성장률 하향 조정 방침을 밝힌 바 있음

 

- 세계은행과 IMF18~24일 미국 워싱턴에서 경제 전망과 빈곤 퇴치, 원조 효과 등의주제로 봄 총회를 가질 예정

 

- 기업이익 관련, 모건스탠리에서 인플레로 인한 실적의 긍정적 영향은 끝났고, 2022 마진 기대가 과도하게 낙관적이라는 보고서 공표. 2015~2016 이익 조정이 발생한다면 S&P5004,000pt까지 하락할 수 있다고 전망

 

- 당사 집계 기준, S&P500세전이익률 컨센서스는 1Q22저점(16.2%)으로 반등 전망 중. 특히 3Q22는 역사적 고점(1Q21 17.8%)에 근접한 17.3% 전망 중

 

- S&P500 구성종목 중 33개가 실적을 발표했으며, 이 중 27개 종목이 EPS 컨센서스를 상회. 합산 순익은 컨센서스를 0.7% 상회하는 수준에 그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