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황공부

2022.05.09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yunms0321 2022. 5. 9. 09:33

안녕하세요. 주식/경제를 공부하면서 시황에 대한 부분과 삼프로 TV를 보고 정리한 내용들을 포스팅합니다.

출처 : 네이버 증권

 

 

《박병창의 마켓인사이트》

출처 : 삼프로TV

 

 

◈ 지난주 해외 시장 흐름과 특징 ◈

> 주간 : 나스닥 -1.54% (12,144p) / 다우 -0.24% / S&P500 -0.21%​​

> WTI 110.6$ / 달러인덱스 103.6/ 원화 1,270원 / 위안화 6.66위안

> 10년만기 국채 수익률 3.14% / 2년 만기 2.73% / 3개월 0.85%

> 특징:

변동성 장세 지속 (주중 고점 : 나스닥 +5.27%, 다우 +3.46%)

FOMC 회의 마감 후 엇갈린 향후 전망

10년 만기 국채 금리 3% 돌파 후 추가 상승

시총 상위 빅테크 급락 → 중하위 테크 성장주 급락

→ 마진콜, 로스컷의 악순환 우려로 변동성 심화

◈ 지난주 국내 시장 흐름과 특징 ◈

> 주간 : 코스피 -1.88% (2,644P) / 코스닥 -2.27% (884P)

> 수급 : 개인 +1.2조 / 외국인 -4,088억 / 기관 -8,449억

////////// (기관 : 투신 -126억, 연기금 -980억, 사모펀드 -3,027억)

> 특징 :

나스닥 급락에도 선방, 금요일 오전 반등 시도 → 홍콩, 중국 급락

→ 반등 실패, 오후 하락 폭 키우며 마감

4월 순매수한 국내 기관 매도 전환

삼성전자 반등, 인텔 - K장비 협력, 미.중 인프라 투자 (기계)

애플 자율주행 (로봇) / 5G 수출 → 이슈별 종목 장세

◈ 이번주 주요 이슈 ◈ 

9일 : 중국 무역 지표 (수출입 동향)

10일 : OECD 경기 선행 지수 / 옐런 장관 의회 연설

11일 : 미국 4월 CPI / 중국 4월 CPI, PPI

12일 : 미국 4월 PPI / MSCI 반기 리뷰 / 옵션 만기

→ 9일 러시아 전승 기념일 : 우크라 전쟁 관련 이벤트 ?

→ FOMC 후 연준 위원 각종 발언 : 투심 위축으로 영향 확대

→ 코스닥, 중소형주 실적 발표 피크

* 중국 커창판 바이오 지수 출시 : 바이오 주식 중 50개 선별 구성

◈ 이번주 시황 전망 / 투자전략 ◈

미국 시장, 어닝시즌 마무리, 빅스텝 금리인상 현실화 양적긴축 반영

→ 경기 및 인플레 전망 논란

국내 증시, 긴축 속 경기 우려 / 환율 고공권 지속으로 침체 심리

VS 지수 하단 방어, 기관 매수 유입으로 반등 기대 심리

→ 4월말 ~ 5월초 하락에 매수 VS 현금 유지, 반등 시 매도

→ 투자 판단의 시차 고려 / 환율 하락 안정이 최우선 관건

( CPI 상승률 둔화, 우크라이나 전쟁 완화, 중국 정책 변화 )

◈ 주요 이슈 ◈

1. 중국, 도시 봉쇄 여파 경기 및 고용위기 경고

리커창,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고용 '복잡하고 엄중하다'

제로 코로나 정책 고수 - 공급망 해소 지연, 경기 둔화 우려 강화

위안화 가치 하락 - 원화 약세 지속

2. 미국, 비용 증가로 기업 이익 감소 우려

4월 시간당 평균임금 31.85$ (YoY 5.46%)

4월 실업률 3.6% / 4월 비농업 고용 42.5만 명 (예상 40만 명)

경제활동 참가율 62.2% (팬데믹 이전보다 1% P 낮은 수준)

3. 5월 이익 동향 변화

글로벌 이익 전망은 하향 폭 확대

전망 상향 국가 : 호주 대만 한국 / 전망 하향 국가 : 유럽 중국 홍콩

국내 업종별 22년 이익 전망

상향 : 에너지, 운송, 철강, 비철, 반도체, IT H/W

하향 : 조선, 기계, 호텔, 레저, IT 가전

4. 수소 산업 탄력 기대

국회, '수소 경제 육성 및 수소 안전 관리 법안' 1년여 만에 타결 기대

인수위, 수소를 '자원 안보'로 관리 및 육성

5. 애플에 올라탄 K 기업, 성장 전망 양호

아이폰 부품 30%가 한국산

(삼성전자 및 전기, 디스플레이 / LG전자 및 이노텍, 디스플레이)

6. 미국, 머크 스태그플레이션 ETF 출시 (STGF)

물가연동채권, 부동산, 금, 석유, 달러에 투자

 

 


 

● 미국 증시 코멘트

출처 : eBest Global Market Daily / 시황정보 리포트(네이버 증권)

 

 

 

- 주요 지수 추가 하락. 미 국채 금리 상승세 지속으로 나스닥이 가장 크게 하락

 

- 미 국채 금리는 장기물 중심으로 상승. 10년물은 20184월 이후 최고치 경신

 

- 4월 비농업 고용자수와 임금 상승세 둔화는 긍정적이나, 노동참여율 하락에 시장은 민감하게 반응

 

- 4월 비농업 고용자수는42.8만 명으로 컨센서스(391천명) 상회했고, 2월과 3월 모두 각각 3.9만명 하향 조정. 4월 수치는 하향 조정된 3월 수치와 동일. 노동 참여율은 전월(62.4%)비 소폭 하락한 62.2%로 최근 3개월 최저치 기록

 

- 4월 시간당 평균임금은0.3% MoM, 5.5% YoY컨센서스(0.4% MoM, 5.5% YoY) 소폭 하회, 전월(0.5% MoM, 5.6% YoY) 대비 상승 폭 축소

 

- 4월 실업률은 3.6%으로 전월과 같았으나, 컨센서스(3.5%) 상회

 

- 연준 및 지역 연은 인사들은 강경한 긴축정책을 지지하는 발언

 

-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는 인플레이션이 너무 높으며, 이를 통제하기위해 기준금리를 최대 3.6%까지 신속하게 인상할 것을 요구한다고 언급

 

- 월러 연준 이사는 인플레이션이 자신이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높고 지속적으로 나타났다고 언급. 지금의 데이터들을 과거에 알았다면 연준이 테이퍼링을 가속화하고 금리를 더 빨리 인상했을 것이라고 밝힘

 

- 토마스 바킨 리치먼드 연은 총재는 어떠한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을 것이며, 75bp 금리 인상 가능성 또한 배제하고 있지 않다고 언급

 

-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는 우크라이나 전쟁과 코로나 봉쇄로 인해 공급망 정상화가 지연될 가능성 언급하며, 공급망 압력발 인플레이션이 완화되지 않는 한 금리가 중립금리를 넘어야할 수도 있다고 언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