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5.16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안녕하세요. 주식/경제를 공부하면서 시황에 대한 부분과 삼프로 TV를 보고 정리한 내용들을 포스팅합니다.
《박병창의 마켓인사이트》
출처 : 삼프로TV
◈ 지난주 해외 시장 흐름과 특징 ◈
> 주간 : 나스닥 -2.80% (11,805p) / 다우 -2.14% / S&P500 -2.41%
> 주간 저점 : 나스닥 -8.53% / 다우 -5.08% / S&P500 -6.41%
> 금요일 : 나스닥 +3.82% / 다우 +1.47% / S&P500 +2.39%
> WTI 108.3$ / 달러인덱스 104.5/ 원화 1,278원 / 위안화 6.78위안
> 10년만기 국채 수익률 2.92% / 2년 만기 2.58% / 3개월 0.98%
> 특징:
7주 하락, 지난 목요일 거래 증가 반등, 금요일 큰 폭 반등
애플 +3.2%, 넷플릭스 +7.6%, 마이크론 +6.2%, 테슬라 +5.7%
빅테크 및 성장주 수급 왜곡 급락 후 반등
◈ 지난주 국내 시장 흐름과 특징 ◈
> 주간 : 코스피 -1.52% (2,604P) / 코스닥 -3.52% (853P)
> 주간 저점 : 코스피 -3.69% / 코스닥 -5.95%
> 수급 : 개인 +4,517억 / 외국인 -1조 / 기관 +4,457억
////////// (기관 : 투신 +1,081억, 연기금 -870억, 사모펀드 -1,000억)
> 특징 :
1월 저점 하향 후, 코스피 9일 만에 반등
금요일 선물 11,200계약 매수, 프로그램 +1,739억
삼성전자 +2.47%, LG엔솔 +3.22%, SK하이닉스 +3.21%
코스피, 코스닥 각각 시총 상위 80개 중 4개 하락
◈ 이번주 주요 이슈 ◈
16일 : 중국 실물지표 (산업생산, 소매판매, 고정자산투자 등)
17일 : 미국 실물지표 (소매판매, 산업생산 등)
WSJ 컨퍼런스 : 파월의장 연설 등 주요 인사 연설
18일 : G7 재무장관 회담
19일 : 미국주택매매 지표
20일 : 한 - 미 정상회담 / 중국 인민은행 LPR 결정
미국 옵션 만기일
→ 주요국 경기 지표 / 중국 도시 봉쇄 상황
◈ 이번주 시황 전망 / 투자전략 ◈
미국 시장, 기존 악재 (금리인상, QT, 전쟁) 반영
인플레, 경기 침체 우려 (중국 도시 봉쇄 등) 진행
4월 말 빅테크 급락 후 성장주 순환 급락 마무리
나스닥 고점 대비 -30% 후 반등 / 2008년 -50%, 그 외는 -20~ -30%
기간은 평균 1.6개월 / 2018년 10월 ~ 12월 -22.4% / 7주 연속 하락
→ 데드캣 바운스 vs 베어마켓랠리 (기간 조정 진입)
국내 증시, 여전히 높은 환율 → 외국인 매도 지속
환율 하락 → 대형주 / 박스권 → 중소형주
→ 22년에 한정한, 실적 성장이 있는 주식으로 차별화
◈ 주요 이슈 ◈
1. 봉쇄 50일, 상하이 5월 중순 점진 개방 목표
5월 5일 정치국 회의 - 제로 코로나 정책 고수
13일, 자국민 해외 출국 엄격한 제한
경제적 피해, 봉쇄 지역 주민 반발 → 점진적 완화 가능성
2. 일론 머스크, 트위터 인수 불확실성 - 테슬라 상승, 트위터 -9.67%
3. 미국 - 러시아 국방장관, 전쟁 후 첫 통화
4. 인도, 자국 생산 밀 수출 금지 - 식량 국가 이기주의 확산 우려
5. 현대차, 조지아 공장 추진, 20일경 발표 예정
SK온 배터리 낙점 (한국경제)
6. 엇갈린 반도체 희비
파운드리 (시스템 반도체) 가격 상승 vs 메모리 반도체 가격 하락
TSMC 21년 10월 10년만의 최대폭 가격 인상 +20%
하반기 5% ~ 8% 가격인상 예고
삼성전자 파운드리 가격 하반기 20% 인상 논의
메모리 반도체 가격 하락 지속, 낸드 플래시 가격 상승 기대 이하
스마트폰, PC, 가전 우려 : 수요 감소, 비용 증가
7. 2030년 전기차 배터리 8배 성장 (SNE리서치)
한국 업체 점유율 20% / 중국 업체 점유율 63%
8. 삼성전자, 웨어러블 로봇 'GEMS-H' 8월 출시
4월 21일 FDA 최종 승인, 초도 물량 3~5만대
걷기 어려운 분들의 보행 보조 로봇 (무릎, 발목, 고관절 보조)
삼성전자, 미래 신성장 동력 - 로봇 사업 선정
● 미국 증시 코멘트
출처 : eBest Global Market Daily / 시황정보 리포트(네이버 증권)
- 저가 매수 유입과, 중국 상하이 점진적 봉쇄 완화 기대감 등으로 주요 지수 모두 큰 폭으로 반등. 하락폭이 가장 컸던 나스닥이 가장 큰 상승폭 기록
- 주가 반등하며 국채 금리 상승(2Y +1.9bp, 10Y +7.1bp)했고, 달러 소폭 하락
- 중국 상하이 부시장이 13일 방역 프리핑에서 이달 중순까지 "사회면 제로 코로나(격리, 통제 구역을 제외한 일반 지역의 확진자 0명)" 달성 시 점진적으로 봉쇄를 풀겠다는 가시적 목표 제시. 15일 방역 브리핑에서는 16일부터 점진적으로 봉쇄 해제 시행 발표. 점진적 개방, 제한된 인구, 효과적 통제 원칙 바탕으로 상업 기능 회복 추진 의사 밝힘
- 러시아 석유 금수조치에 대한 헝가리의 반대에도 불구, EU가 5월 내 단계적 금수조치 추진 의지를 밝히면서 WTI 원유 4.1% 상승. 중국 봉쇄 완화에 따른 수요 회복 기대감 또한 상승 압력으로 작용
-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는 2011년 이후 최저 수준인59.1pt로 컨센서스(64.1pt), 전월 수치(65.2pt) 하회. 12개월 기대인플레는 5.4%로 전월과 동일
- 미국 4월 수출물가지수는 0.6% MoM으로 컨센서스(0.7% MoM) 하회, 전월 4.1%에 비해 상승폭 축소. 수입물가지수 0.0% MoM 컨센서스(0.6% MoM) 하회. 에너지 수입 물가가 -2.4% MoM 기록하면서 전달과 같은 수준 유지
-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준 총재는 연준은 매우 높은 인플레이션을 낮추기 위해 필요한 일을 할 것이라는 확신이 있다고 발언. 보다 완화적으로 행동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