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주식/경제를 공부하면서 시황에 대한 부분과 삼프로 TV를 보고 정리한 내용들을 포스팅합니다.
《박병창의 마켓인사이트》
출처 : 삼프로TV
◈ 지난주 해외 시장 흐름과 특징 ◈
> 주간 : 나스닥 -2.63% (13,351p) / 다우 -0.78% / S&P500 -2.13%
> WTI 106.5$ / 달러인덱스 100.3/ 원화 1,229원 / 위안화 6.37위안
> 10년만기 국채 수익률 2.82% / 2년 만기 2.45% / 3개월 0.78%
> 특징:
· 중국 PPI +8.3% (전월 8.8%), CPI 1.5% (전월 0.9%)
→ 미국 CPI 우려 → 양적 긴축 가속화 우려 → 빅테크 급락
· 미국 CPI 8.5% (전월비 +1.5%) PPI 11.2% (전월 10.3%)
· 코어 CPI +6.5% (전월비 +0.3%) → 피크아웃? → 빅테크 반등
· 우크라이나 전쟁, 러시아 강경 태도 → 달러 강세, 유가 재상승
◈ 지난주 국내 시장 흐름과 특징 ◈
> 코스피 -0.16% (2,696P) / 코스닥 -1.10% (924P)
> 코스피 주간 : 개인 +0.94조 / 외국인 -1.25조 / 기관 -2,224억
> 특징 :
· 환율 1,230원으로 상승 → 외국인 현, 선물 매도 지속
· 수요일 : 연기금, 투신, 사모펀드 순매수 유입으로 비교적 큰 폭 상승
· 금요일 : 나스닥 하락 - 1% 하락 시작 → 반등 시도 마감
· 기준금리 1.25% → 1.5% 로 인상
· 조선주, 조선 기자재 급등, 자율주행 전장부품 강세
· 중소형 건설, 사료, 비료, 수산 등 급등락
◈ 이번주 주요 이슈 ◈
18일 : 중국 산업 생산, GDP 등 경제 지표 / (실적발표 : BOA)
19일 : IMF 춘계회의 개막, IMF 세계 경제 전망 보고서
//////(실적발표 : IBM, J&J, 넷플릭스)
20일 : EU 산업생산 / (실적발표 : P&G, 테슬라, 알코아, 램리서치)
21일 : IMF 회의 중 파월, 라가르드 총재 연설 / 연준 베이지북 발표
22일 : 4월 마킷 제조업 및 서비스업 PMI (실적발표 : 버라이존)
→ IMF, WB 춘계회의 : 파월, 라가르드 참가 및 연설
→ 경지 지표 및 기업 실적 발표
◈ 이번주 시황 전망 / 투자전략 ◈
3월 강한 반등 후 4월 추가 반등 기대로 시작했으나...
4월 2주간 변동성 심화 (양적긴축, 러시아 강경 태도, 상해 봉쇄)
미국은 빅테크 큰 변동성으로 지수 등락 폭 심화
(나스닥은 반등의 중간라인, 다우는 반등의 상단 → 반등 시도 구간)
국내시장은 외국인 선물 연계 프로그램 거래에 영향
지난 주 국내 기관 순매수 유입 / 이번주 중국 경제 정책 관심
직전 저점 붕괴는 새로운 악재 나와야... 박스권 유지 전망
IT 악재 속 자동차, 조선, 정유 등 대안 섹터의 등장 및 지속
→ 실적 발표에 따라 종목별 차별화
◈ 주요 이슈 ◈
1. 가계대출 4개월 연속 감소
3월말 기준 은행권 대출 잔액 전달 대비 1조원 감소 (1,059조)
(전월 2,000억 감소, 3월 기준은 2004년 이후 최대)
주담대는 소폭 증가 (+2.1조), 신용대출 등 큰 폭 감소 (-3.1조)
반면, 기업 대출 역대 두번째로 큰 폭 증가
2. IT 업계 연봉인상 확산, 원자재 가격 급등 → 영업이익률 하향 우려
SK하이닉스 +8%, DB 하이텍 +14.3%, 카카오 +15%, LG전자 +8.2%
네이버, LG엔솔, LG이노텍 +10% / 삼성전자 및 계열사 +8%대 고심
3. 전기차 핵심 소재 양극재 가격 25% 인상
원재료 가격 급등, 에코프로비엠 등 2분기 부터 25% 인상
배터리 가격 인상 + 반도체 쇼티지 → 전기차 가격 상승 전망
4. 배터리 소재 조달, 완성차 업체가 발벗고 나서...
GM, 스위스 광산 기업과 코발트 장기 계약 체결
포드, 호주 광산업체와 리튬 장기계약 체결 / 테슬라, 니켈 장기계약
LG화학, 해외 광산 지분 투자 검토
→ 미국 국방 물자조달법 발동 예정
5. 테슬라, 사람대신 일해주는 로봇 23년 생산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 23년 생산 예정
키 172cm, 무게 56kg / 자율주행 AI와 동일 시스템
6. 월가 반도체 섹터 목표가 줄줄이 하향
TI, 실리콘랩스, 온세미컨덕터, NXP, 맥스리니어, 마벨, 암바렐라 등
7. IT 실적 불확실성 개별 이슈 종목에 집중
폴더블폰 ( 인너플렉스, 비에이치, 세경하이테크 등)
기판 (대덕전자, 해성디에스, LG이노텍, 삼성전지, 심텍 등)
개별 이슈 (자화전자, 와이솔, 세코닉스, 아비코전자 등)
8. 건설 기계 업종 성장
미국 21년 건설기계 +8.3% (YoY) / 향휴 5년간 연평균 3% 성장 전망
북미 크레인지수 1분기 +4.7% 증가 / 국내는 주택 재건축 기대
두산밥캣, 진성티이씨 급등
9. 한화 큐셀 21년 태양광 모듈 시장 1위, 그럼에도 적자 확대
1분기 적자, 1,090억 전망 / 중국 기업 저가 공세, 원자재 가격 상승
한화솔루션 이익 감소에 영향 / 태양광 사업 중국과의 경쟁 심화
10. 지난 주 수급 분석 (ETF제외)
기관 순매수 : 삼성 SDI, LG엔솔, 기아, LG전자, 현대미포조선,
////////// 삼성바이오로직스, 한미약품, LG이노텍, 신한지주 등
코스닥 : 펄어비스, 이엔에프테크, 스튜디오드래곤, 신흥에스이씨
//////////비에이치, 에코프로비엠.. 아프리카 TV, ISC, 상신이디피 등
기관 순매도 : 삼상전자, SK하이닉스, 카카오, POSCO 홀딩스, KT
//////////SKT, KT&G, 현대모비스, NAVER, 카카오뱅크 등
코스닥 : 카카오게임즈, 천보, JYP, 셀트리오헬스, 위메이드, 심텍
//////////컴투스홀딩스, 에스엠, 주성엔지, 에코프로, 루트로닉 등
'시황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4.20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4.20 |
---|---|
2022.04.19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4.19 |
2022.04.15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4.15 |
2022.04.14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4.14 |
2022.04.13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4.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