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주식/경제를 공부하면서 시황에 대한 부분과 삼프로 TV를 보고 정리한 내용들을 포스팅합니다.
《박병창의 마켓인사이트》
출처 : 삼프로TV
◈ 전일 해외 시장 흐름과 특징 ◈
> 나스닥 -2.14% (13,351p) / 다우 -0.33% / S&P500 -1.21%
> WTI 106.51$ / 달러인덱스 100.3 / 원화 1,230원 / 위안화 6.378위안
> 10년만기 국채 수익률 2.82% / 2년 만기 2.45% / 3개월 만기 0.78%
> 특징:
· 러시아 강경 태도 → 유가 재 상승, 달러 강세 → 원자재 섹터 강세
· 국채 수익률 단기 고점 돌파 → 빅테크 전반적으로 -3% 전후 하락
· 최근, 다우 1% 이내의 등락 / 나스닥 2% 대의 등락
· 5월 FOMC +1Q 실적 발표 이벤트 앞둔 변동성
◈ 전일 국내 시장 흐름과 특징 ◈
> 코스피 +0.01% (2,716P) / 코스닥 +0.08% (928P)
> 수급 : 개인 +898억 / 외국인 -2,549억 / 국내 기관 +1,547억
///////// 외국인 선물 -3,158계약 / 프로그램 매도 -800억
> 특징 :
· 보합 시작 후 → 한은 기준금리 인상 25bp (1.5%) → 하락 전환
→ 오후 반등으로 대량 거래 및 변동성 없이 마감
· ETF 리밸런싱으로 종목별 수급 차별화
→ 완성품, 대형주 상승 / 소재, 중소형주 하락
· 애플카 관련주 급등 : 전장부품, 카메라, 라이다 등
◈ 오늘 시장 전망과 투자전략 ◈
달러 강세, 원화 약세 지속 → 외국인 현, 선물 매도 지속
나스닥 변동성 지속 → IT, 반도체 상대 약세
약세 시작 후 종목별 반등 (수요일 반등 후 종목별 수급 변화)
오늘 저녁 미국 시장 휴장
다음 주 중국 산업 생산, GDP 등 경제 지표, 연준 베이지북
테슬라 등 주요 기업 실적 발표
→ 경기 지표 및 실적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FOMC 앞둔 시장 관망 (거래량 감소)
◈ 시장 이슈 ◈
1. 한국은행 금리 인상
25bp 인상 (1.5%) / 국채수익률 소폭 안정 3년 2.88%, 10년 3.22%
3월 물가 4%대의 제어 위한 인상 / 미국 빅스텝 금리인상 고려
22년 GDP 2%대 하락 우려 - 감안한 금리 정책 시사
2. 일론 머스크 - 트위터 인수 보도 (블룸버그) 후 주가 급등 후 반락
테슬라 성장을 위한 자금 상황, 트위터 인수 가격 등으로 부정적 인식
3. TSMC 실적 발표
1Q 매출 및 영업이익 컨센 상회(OPM +45.6%)
2Q 가이던스 역시 기존 컨센 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발표
4. 전일 ETF 리벨런싱으로 주가 차별화
타이거 2차전지 (약 1.3조) : 대형 셀업체 상승, 소재 약세
기타 : 엔터 관련 ETF 매물
5. 캘리포니아, 클린카 의무 비율 대폭 상향
25년 8% → 36% / 30년 68% → 100%로
25년까지 전기차 연평균 53% 성장 지속 → K배터리 수혜
6. 원자재 가격 상승 지속은 전기차 대중화 허들 ?
배터리 가격 상승 → 배터리 쇼티지 가능성
7. 5월 MSCI 반기 리뷰
현대중공업 신고가 / 4월 18일 ~ 29일 중 편출입 진행
8. 현대차 수소차 '넥쏘' 중국 보조금 지원
북경 교통국 정식 라이선스 취득으로 보조금 혜택
9. 애플카 관련주 강세
● 미국 증시 코멘트
출처 : eBest Global Market Daily / 시황정보 리포트(네이버 증권)
- 미 국채 금리가 급등하며 성장주를 중심으로 주요 지수 하락 마감. 나스닥의 하락폭 (-2.1%)이 두드러졌으며, 다우(-0.3%)는 상대적으로 견조
- 최근 CPI 정점 통과 기대로 연준 통화정책의 변화 가능성을 반영하며 금리 하락. 그러나 금일 ECB 통화정책회의와 개장전 발표된 미국 주요 경제지표 등으로 미 국채 금리와 유가 등 동반 상승
- ECB는 기준금리(0.0%)와 예금금리(-0.5%), 한계대출금리(0.25%) 등을 동결했지만, 라가르드 총재가 3분기 채권매입 종료와, 이후 금리 인상 가능성을 밝힘
- 3월 소매판매 0.5% MoM로 컨센서스(0.6%) 하회. 휘발유 구매액은 8.9% 상승, 이를 제외하면 차량 및 전자상거래 구매 감소로 -0.3% MoM 감소. 전월 수치는 0.3%→0.8% MoM로 상향. 근원 소매판매는 1.1% MoM로 컨센서스(0.6%) 상회
- 3월 수입물가지수는 2.6% MoM로 컨센서스(2.3%) 상회. 수출물가지수도 4.5% MoM로 컨센서스(2.2%) 상회
-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18.5만 건으로 컨센서스(17.2만) 상회
- 2월 기업재고는 1.5% MoM 기록하며 컨센서스(1.3% MoM) 상회
- 4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는 65.7pt로 컨센서스(59.0pt)와 전월(59.4pt) 대비 높은 수준 기록. 일자리 증가와 임금 상승에 대한 기대 반영
'시황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4.19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4.19 |
---|---|
2022.04.18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4.18 |
2022.04.14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4.14 |
2022.04.13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4.13 |
2022.04.12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4.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