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황공부

2022.04.13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by yunms0321 2022. 4. 13.

안녕하세요. 주식/경제를 공부하면서 시황에 대한 부분과 삼프로 TV를 보고 정리한 내용들을 포스팅합니다.

출처 : 네이버 증권

 

 

 

《박병창의 마켓인사이트》

출처 : 삼프로TV

 

◈ 전일 해외 시장 흐름과 특징 ◈

> 나스닥 -0.30% (13,371p) / 다우 -0.26% / S&P500 -0.34%
​> WTI 100.99$ / 달러인덱스 100.3 / 원화 1,228원 / 위안화 6.36위안
> 10년만기 국채 수익률 2.72% / 2년 만기 2.40% / 3개월 만기 0.75%
> 특징:
· CPI 발표 후 반등 시도 → 우크라 전쟁 우려 부각 → 하락 마감
· 3월 CPI 8.5% (전월비 +1.5%) 코어 CPI +6.5% (전월비 +0.3%)
  (가솔린 +48%, 중고차 +35.3%, 음식료 +8.8%, 주거비 +5%)
  → 유가로 상승, 중고차와 주거비는 소폭 하락



◈ 전일 국내 시장 흐름과 특징 ◈
> 코스피 -0.98% (2,666P) / 코스닥 -0.87% (913P)
> 수급 : 개인 +5,618억 / 외국인 -4,671억 / 국내기관 -1,213억
///////// 외국인 선물 -4,000계약 / 프로그램 매도 -3,300억

> 특징 : 
· 원화 약세 지속 - 외국인 선물 매도 - 프로그램 매도
· 자원개발, 에너지, 도시가스, 조선 (기자재), 시멘트 강세
  → 선물 연계 거래, 공매도로 시장 등락



◈ 오늘 시장 전망과 투자전략 ◈ 
하락은 하지만...
최근 나스닥 대비 하락 폭 감소 지속
외국인, 기관 매물 감소 → 선물 연계 프로그램 매매가 시장 주도

기대는 우크라이나 종전 → 환율 하락, 물가지수 하락
4월 중 코스피 전 저점 2,591P 테스트 후 반등 시도

2018년 ~ 19년과 다른점 :
부정적 : 더 빠른 금리인상, 더 큰 양적 긴축
긍정적 : 17년 상승 후 18년 하락, 이번엔 21년 7월부터 하락
///////// 18년엔 기업 이익 지속 감익, 이번엔 2분기부터 증익 기대



 시장 이슈 ◈ 
1. 4월 (2분기) 물가 정점 가능성
팬데믹 + 우크라이나 전쟁 + 중국 도시 봉쇄 → 순차적 해소
미국 중고가 가격 3개월 연속 하락 중
주택 가격 정점 통과 가능성 / 강한 긴축 - 기대 인플레 하락


2. 미국 주택 구매자 모기지 월 납입금 30% 이상 증가
기존 주택 가격 상승 VS 모기지 금리 급등 (1월 2.8% → 4월 5%)


3. 시장 변동성으로 인한 나스닥 시총 탑 10 순위 변화
애플, MS, 알파벳, 아마존, 테슬라, 메타, 엔비디아, 코스트코
AMSL, 펩시  (넷플릭스, 어도비 순위 밖으로)


4. 인수위, 반도체 투자 확대로 산업 보호, 육성
반도체 대학원 신설, 산업단지 조성, 시설투자 세제 지원
파운드리 라인 신, 증설 위한 예산 지원
미국 정부 + 인텔, 대만 정부 + TSMC 처럼 연합


5. 배터리 업계 환율 상승으로 이자 비용 부담
외화 부채 13조
삼성 SDI 3.8조, LG엔솔 3.4조, SK온 1조, 포스코케미칼 1,642억 등
환율 하락으로 원금 상환 및 이자 부담 증가
환율 5% 상승 → 501억 손실


6. LG 전자, 미래 먹거리로 '전기차 충전' 낙점
전기차 충전기 직접 생산, LG엔솔 LG이노텍과 협업
전기차 충전 솔루션 + LG 마그나, 전기차 부품


7. 인수위, '탈원전 실현 불가능' 선언
SK '소형모듈원자로' 사업 진출 검토


8. 혼다, 10년간 78조 투자 : 1000만원 미만 전기차 생산
2030년 연 200만대 목표, 전고체 전지 사용할 것


9. 8인치 반도체 부각
고부가가치 제품에 사용 불가
반도체 쇼티지 + 자동차 반도체 수요 증가, 가격 30% 상승


10. 12일 장 후반 중국 증시 급반등 (종료 직전 +1.46%)
당국의 자사주 매입 권고 - 필요 자금 위한 채권발행 지원
코로나 봉쇄 조치 일부 완화
외국인 매수 - 음식료, 엔터, 철강


● 미국 증시 코멘트

출처 : eBest Global Market Daily / 시황정보 리포트(네이버 증권)

 

 

 

- 장 초반 CPI 수치가 컨센서스에 대체로 부합하며, 국채 금리 하락과 나스닥 강세가 나타났으나, 푸틴의 발언 등으로 지정학적 리스크 재부각, 여전히 높은 유가, 브레이너드의 매파적 발언으로 3대 지수 모두 하락 전환하여 마감

- 미 국채 금리는 CPI에 안도하며 하락. 2Y 2.41%(-9bp), 10Y 2.72%(-6bp)


- 유가는 재차 급등하여 WTI $100 상회하며 마감. 중국의 봉쇄 완화와 러시아의 에너지 생산이 2020년 이후 최저치로 감소했으며, OPEC은 이를 대체하는 것이 불가능할 것으로 판단. 더불어 러시아 산 에너지 제재 가능성도 부각

 

- 3월 CPI는 1981년 12월 이후 약 40년 만의 최대치 기록. 1.2%% MoM, 8.5% YoY로 컨센서스(1.2% MoM, 8.4% YoY)에 대체로 부합. 항목별로는 에너지가 32.0% YoY, 식품이 8.8% YoY, 항공운임 23.6% YoY 등이 큰 폭으로 상승

 

- Core CPI는 0.3% MoM, 6.5% YoY로 컨센서스(0.5% MoM, 6.6% YoY) 하회

 

- 3월 주간 평균 실질 임금 -1.1% MoM로 컨센서스(-0.6% MoM) 대비 하회. 시간당 평균 실질 임금은 -0.8% MoM 기록

 

- 오전 중, 푸틴은 우크라이나와의 협상이 막다른 골목에 다다랐다고 언급하며 지정학적 리스크 재부각. 오후에는 핀란드, 스웨덴의 NATO 가입 근접 소식

 

- 브레이너드 연준 부의장 지명자는 높은 인플레이션을 언급하며 5월 FOMC에서 대차대조표 축소 계획 공식화 및 6월 시작 가능성 제시. 한편 근원 CPI(0.3% MoM)가 전월(0.5% MoM) 대비 둔화한 것에 대해 매우 환영할 만하다고 언급

 

- NFIB 중소기업 낙관지수는 93.2pt 기록하며 전월(95.7pt)비 하락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