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황공부

2022.04.12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by yunms0321 2022. 4. 12.

안녕하세요. 주식/경제를 공부하면서 시황에 대한 부분과 삼프로 TV를 보고 정리한 내용들을 포스팅합니다.

출처 : 네이버 증권

 

 

《박병창의 마켓인사이트》

출처 : 삼프로TV

 

◈ 전일 해외 시장 흐름과 특징 ◈

> 나스닥 -2.18% (13,411p) / 다우 -1.19% / S&P500 -1.69%
​> WTI 95.15$ / 달러인덱스 99.76 / 원화 1,235원 / 위안화 6.37위안
> 10년만기 국채 수익률 2.77% / 2년 만기 2.49% / 3개월 만기 0.71%

> 특징 :
· 중국 PPI +8.3% (전월 8.8%), CPI 1.5% (전월 0.9%)
  → 미국 CPI 우려 → 양적 긴축 가속화 우려 → 빅테크 급락
· 상하이 등 주요 도시 봉쇄 장기화, 우크라 전쟁 장기화
  → 달러 강세, 위안화/원화 약세
· 주요 빅테크 -2% ~  -3%, 테슬라 -4.8%, 비트코인 선물 -6.71%



◈ 전일 국내 시장 흐름과 특징 ◈
> 코스피 -0.27% (2,693P) / 코스닥 -1.38% (921P)
> 수급 : 개인 +1,254억 / 외국인 -1,354억 / 국내기관 +29억, 프로그램 매도 -1,460억

> 특징 : 
· 지난주 외국인 선물 대량 매도 → 일부 환매수 →
   오전 반등 → 중화권 시장 하락 → 재차 하락
   (상해 -2.61%, 항셍 H -3.76%, 대만  -1.37%)
· IT 매도, 자동채 매수 / 통신, SKT LG 유플러스 KT 강세
· 비료, 사료, 농업, 자원 개발, 정유 강세
· 약세장 특징 : 유틸리티, 필수소비재 강세, 개별 소형주 강세



◈ 오늘 시장 전망과 투자전략 ◈ 
미국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 18년 10월 - 11월 3.24% 고점 후 하락
나스닥 : 10월 급락 - 11월 보합 - 12월 급락 - 19년 1월 ~  4월 급반등

양적 긴축 가시화 : 10년 만기 수익률 상대적으로 급등
>>>>>>>>>>>>>  장단기 금리차 확대

국채 수익률 급등 → 채권 매도 → 채권가격 급락  (국채수익률 = 금리)
→ 채권 저가 매수 → 국채 수익률 안정 (어느 정도 수준인지를 고민)

월가의 18년 국채 수익률 고점 전망에 관심 (현재 3.2% 수준)

중국 발 노이즈 : 도시 봉쇄, 인플레이션 지표 상승,
미국, 중국의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 역전 (미국 2.77%, 중국 2.6%)
→ 달러 강세, 위안화/ 원화 약세 → 중국, 한국 하락

파생시장 : 원화 약세 → 외국인 선물 매도, 현물 매도 강화
특이사항 : 외국인, 기관 콜, 풋옵션 동시 매수
(스트랭글 매수? → 현, 선물 포지션 후 소액으로 변동성 헷지? )

보유 종목 관리 및 테마, 이슈로 움직이는 개별 종목에 집중

​​

 시장 이슈 ◈ 

1. 국내 2차 전지 업계 이익 선방
완성차 업체 생산 차질 + 원자재 가격 급등 (비용)
감익 컨센서스 상회 실적 → 원통형 전지 수요 증가


2. 중국 게임 신규 허가 8개월 만에 재개
온라인 게임 신규 판도 발급 - 허가 기다리던 게임 업체 호재


3. 소매 유통업 경기 전망 지수 회복 ( 상공회의소)
백화점, 대형마트 등 1,000개 업체 조상

출처 : 삼프로 TV

 



4. 글로벌 해운 컨테이너 운임지수 12주째 하락
중국 봉쇄령 ? / 글로벌 병목 현상 해소 시작 ?

출처 : 삼프로 TV


 

 

 

● 미국 증시 코멘트

출처 : eBest Global Market Daily / 시황정보 리포트(네이버 증권)

 

 

- 주요 지수 모두 하락 마감 했으며, 국채 금리가 상승세를 이어감에 따라 나스닥이 가장 큰 폭으로 하락(-2.2%)했고, S&P500(-1.7%), 다우(-1.2%) 역시 하락


- 미 국채금리는 10년물 2.78%(+8.0bp)로 2019년 3월 이후 최고치 기록


- 유가는 4%대 하락. 중국의 코로나로 인한 락다운 영향으로 수요 둔화 전망 때문


- 뉴욕 연은의 지난 달 설문조사에서 향후 1년 기대 인플레이션 중간값이 6.6%로 집계됐다는 CNBC 보도. 전월 6.0%대비 +0.6%p 상승했으며, 집계가 시작된 2013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 세부적으로는 렌트비 10.2%, 의료비, 식품 및 가솔린은 9.6% 상승을 전망


- 찰스 에반스 시카고 연은 총재는, 다음 FOMC에서 중립 금리까지 얼마나 빨리, 어떻게 도달할 것인지를 논의할 것이며, 12월까지 중립금리까지 인상하길 원한다고 밝힘. 더불어 50bp 인상은 논의할만한 문제라고도 언급


- 4/13(수) JPMorgan(JPM)과 Delta Airlines(DAL) 등을 시작으로 1Q22 실적시즌 개막 예정. 컨센서스 상 S&P500의 순이익은 2.7% YoY, 매출액은 10.5% YoY로 전망 중인데, 4월 들어 에너지 업종이 4.7% 상승하며, 나머지 대부분 업종들의 컨센서스 하락을 방어. 동기간 금속및광물(-2.9%), 소비자서비스(-2.3%), 자동차및부품(-1.5%) 등이 하향을 주도. 한편 은행 역시 -0.7% 기록했고, JPM -0.3%, DAL +4.4% 기록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