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주식/경제를 공부하면서 시황에 대한 부분과 삼프로 TV를 보고 정리한 내용들을 포스팅합니다.
《박병창의 마켓인사이트》
출처 : 삼프로TV
◈ 전일 해외 시장 흐름과 특징 ◈
> 나스닥 +0.06% (13,897p) / 다우 +0.25% / S&P500 +0.43%
> WTI 97.1$ / 달러인덱스 99.76 / 원화 1,222원 / 위안화 6.36위안
> 10년만기 국채 수익률 2.66% / 2년 만기 2.46% / 3개월 만기 0.68%
> 특징 :
· 나스닥 장중 저점 -1.44% → 종가 +0.06% (3일 하락 저가매수)
· 대부분의 기술주 장중 저점 후 반등, 소폭 등락 마감
· 브레이너드, FOMC 회의록발 QT 우려로 3일 급락 후 반등
· 주간으로는 3주 상승 후 반락
· 제약 바이오 상대 강세 - AACR
◈ 전일 국내 시장 흐름과 특징 ◈
> 코스피 -1.43% (2,695P) / 코스닥 -1.61% (927P)
> 수급 : 개인 +1.28조 / 외국인 -7,752억 / 기관 -5,202억
> 이틀간 개인 +2.42조 / 외국인 -1.36조 / 국내 기관 -1.08조
> 특징 :
· 외국인 선물 12,000계약 메도 - 프로그램 매도 -6,550억
· 주요 기업 호실적 (분기 최대, 컨센상회) 발표에도 약세 지속
· 삼성전자 매출 77조, 영업이익 14.1조 (외국인 -3,921억, 기관 -1,672억)
· LG전자 매출 21.1조, 영업이익 1.88조 (외국인 -277억, 기관 -190억)
· 중소형주 호실적 발표엔 주가 상승
◈ 오늘 시장 전망과 투자전략 ◈
1분기 악재 (금리인상, 우크라 전쟁) 는 하락도 반등도 마무리
단기 호재 기대 - 우크라이나 종전과 엔데믹 → 병목현상 해소
단기 악재 우려 - 미국 양적 긴축 속도와 폭
중장기 우려 - 경기 둔화 → 침체
갈 길을 찾지 못하는 코스피 → 단기 이슈로 인한 수급에 영향
전형적인 개별 종목 장세
기관 수급에 의한 종목별 차별화
→ 수급 추종 매매 vs 이슈 단기 매매 vs 보유 종목 홀딩, 비중 조절
개인 투자자 순매수 지속 (코스피 + 코스닥 합계)
2020년 개인 +63.7조, 외국인 -24.6조, 기관 -36조
2021년 개인 +77조, 외국인 -26조, 기관 -44조
2022년 개인 +18.5조, 외국인 -9.3조, 기관 -9조
고객예탁금 현재 62.4조 (2019년 말 27.3조)
신규 자금 유입 강해야 지수 견인, 지금은 정체, 지수 방어 수준
예상 시나리오 :
1) 경기 침체, 위기 발생하며 손절매
2) 외국인, 기관 매수 전환, 지수 상승 시 매도
3) 기관 매수 전환, 개인 매수로 상승 시 매도
◈ 시장 이슈 ◈
1. S&P500 실적 전망 추이
22년 1Q EPS 전망 -0.7% 하향
2Q +1.6%, 3Q +2.4%, 4Q +3.9% 로 상향
→ 실적 전망의 베이스는 공급망 이슈
2. 미국 금리 변화 폭과 성장주 수익률
10년 물, 21년 12월 16일 1.41% → 22년 4월 7일 2.66%
ARKK -23%, 테슬라 +15%, 애플 +3.7%, MS -2.9%, 마이크론 -9.3%
JP모건 -17%, 나이키 -19%, 디즈니 -10.8%, 월마트 +11.4%
3. 원자재 가격 급등, 원가 부담 없는 섹터 관심
건강관리, 필수소비재, 소프트웨어, 호텔, 레저, 미디어 등
원가율 부담 섹터 : 비철금속, 목재, 화학, 철강, 상사
4. 인수위, 해상풍력 제동 - 신재생 구조조정
태양광 금융지원 삭감, 어민 반발 지역의 해상 풍력 조정
5. 1분기 자사주 소각, 18개 기업 마무리
미래에셋증권 1,740억, 메리츠증권 998억, 다올 투자증권 501억 등
6. LG이노텍, 구글에 AR카메라 모듈, 3D센싱 공급
23년 구글 글래스에 공급 / 애플, MS, 오큘러스 공급
자율주행 기대 : 카메라, 레이더, 라이다 부품 글로벌 20개사에 납품
현재 아이폰 카메라 모듈, 테슬라 차량용 카메라 공급 중
7. 호텔업계 서비스 로봇 도입 바람
3D 맵핑, 자율주행 - 객실 물품 배달, 청소, 안내 서비스 등
KT 경제 연구소, 2025년까지 국내 약 23만 대 보급 (약 2.8조 시장)
보스턴컨설팅, 20년부터 매년 13% 성장, 30년 약 98조 원 시장 추산
● 미국 증시 코멘트
출처 : eBest Global Market Daily / 시황정보 리포트(네이버 증권)
- 주요 지수는 오후 들어 낙폭을 만회하며 소폭 상승 마감. 장중 저점은 다우 -0.9%, S&P500 -0.7%, 나스닥 -1.4%로 전일에 이어 낙폭을 확대해 나가는 듯했으나, 특별한 이슈는 없는 가운데 반발 매수 논리가 들려오며 오후들어 낙폭 만회
- 미 국채 금리는 2Y 2.46%(-1.2bp), 10Y 2.66%(+6.0bp)로 장단기 금리차 확대
- 유가 역시 혼조세를 보였는데, 주요 지수와 마찬가지로 오후들어 낙폭을 만회
- 지정학적 리스크 관련, 드미트리 페스코프 러시아 대변인이 영국 스카이 뉴스 인터뷰에서 심각한 군 손실을 언급하며, 목표 달성이든, 협상을 통해서든 군사 작전이 종료되길 기대한다고 밝힘. 한편 미국은 러시아 산 에너지 수입 금지와 무역관계 최혜국 대우 특혜 폐지 법안을 상하원에서 가결
- 제임스 블라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는, 연준이 인플레이션에 뒤처져 있다며, 올해 기준금리를 3.5%까지 인상해야 한다고 언급
- 주간실업수당 청구건수는 16.6만 건으로 컨센서스(20만)를 하회했고, 1968년 11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 지난주 수치도 20.2만에서 17.1만 건으로 하향 조정. 연속실업수당 청구건수는 152.3만 건으로 컨센서스(131.1만)를 상회했으며, 지난주 수치도 130.7만에서 150.6만으로 상향. 지표상 타이트한 고용시장 환경 확인
- 국채 금리가 급등한 가운데, 로이터의 보도에 따르면, 바클레이즈에서 미 국채 매수 추천. 최근의 금리 급등은 시장의 과민 반응으로, 현재의 10년물 국채가 위험대비 보상이 매력적이라는 판단. 타겟 금리로 2.3% 제시
'시황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4.12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4.12 |
---|---|
2022.04.11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4.11 |
2022.04.07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4.07 |
2022.04.06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4.06 |
2022.04.05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4.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