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주식/경제를 공부하면서 시황에 대한 부분과 삼프로 TV를 보고 정리한 내용들을 포스팅합니다.
《박병창의 마켓인사이트》
출처 : 삼프로TV
◈ 전일 해외 시장 흐름과 특징 ◈
> 나스닥 +1.90% (14,532p) / 다우 +0.30% / S&P500 +0.81%
> WTI 103.7$ / 달러인덱스 98.97 / 원화 1,214원 / 위안화 6.36위안
> 10년만기 국채 수익률 2.39% / 2년 만기 2.41% / 3개월 만기 0.55%
> 특징:
· 유가 러시아 제재 강화 → 다시 상승
· 미국 상장 중국 기업 회계 자료 규정 보완, 알리바바 +6.6%, 핀듀오 +49%
· 트위터 +27.1% (일론머스크 지분 9.2% 매입, 1대 주주 등극)
· 테슬라 +5.61% / F +4.02%, A +2.37%, N +4.83%
→ 약세 출발 후 기술주 급등으로 시장 상승 견인
◈ 전일 국내 시장 흐름과 특징 ◈
> 코스피 +0.66% (2,757P) / 코스닥 +0.72% (947P)
> 수급 : 개인 =13억 / 외국인 +232억 / 기관 +129억
> 특징 :
· 약보합 출발 → 외국인 선물 매수 (장 후반 매도 청산)
비차익 매수 (+1,716억) / 나스닥 선물 상승 전환 → 상승 마감
1만원 이하 저가주 다수 급등 / 신규 상장 종목 중 반등
(항공, 패션.의류, 게임, AR.VR 섹터 중 저가주 강세)
◈ 오늘 시장 전망과 투자전략 ◈
4월 반등 기대감
3월 반등 탄력, 어닝 시즌, 기존 악재 반영, 주요 이벤트 부재
→ 실적 + 주도 수급의 변화
전일 기관 순매수 종목 : LG 엔솔, SKC, 대한항공, 크래프톤, SK
///// 호텔신라, SK이노베이션, 일진머티리얼즈, 엔씨소프트,
///// POSCO홀딩스, 삼양식품 등
전일 기관 순매도 종목 : 삼성전자, LG전자, GS건설, SK하이닉스
///// 삼성전기, 현대건설, KT, 현대차, 카카오, KB금융 등
◈ 시장 이슈 ◈
1. 2030년 미국 15%가 전기차 - 골드만삭스
신차 판매 55%가 전기차 / 비야디 세계 최초 내연기관차 생산 중단
전기차 부품, 충전, 태양광 관련 기업 추천
2. 삼성전자 1분기 최고 실적 예고 - FN 가이드
부품 계열사 동반 성장 (매출, 영업이익)
삼성디플 7.8조, 4,860억 / SDI 3.8조, 2,890억 / 전기 2.5조, 4,032억
3. 배터리 업계 1분기 실적 부진 - FN 가이드
완성차 업체 생산차질, 배터리 원자재 가격 상승
4. 두산, PCB용 소재 개발 성공
통신 모듈, 5G 등 신사업 확대
5. 공정위 - 플랫폼 기업의 일감 몰아주기 검토 착수
네이버, 카카오 등 무형자산 내부 거래 검토
6. 유로존 물가 상승, 경기 둔화
유로전 3월 CPI 7.5% (전월 5.9%)
러시아 CPI 15%, 제조업 PMI 44.1 → 22년 -10% ~ -20% 역성장 전망
7. 스페인 정부, 반도체 산업에 15조원 투자
8. 미국 암연구 학회 (AACR) - 3년 만에 대면 개최 (8일 ~ 13일)
파멥신, 유한양행, 지놈앤컴퍼니, 한미약품, 레고켐바이오
바이오리더스, 에이비엘바이오, 티움바이오, 네오이뮨텍 등
9. 주주 환원에 대한 인식 제고
행동주의 투자자, 개인 투자자 적극적 의사 표현
SK : 매년 시가 총액의 1% 자사주 매입 → 자사주 소각 검토
크래프톤 : 자본잉여금 4.86조 중 2.4조를 이익잉여금으로 전환
////////// 이익잉여금 → 배당, 자사주 매입
10. 도쿄 증시 30년 만에 세계 1위 → 5위 추락
4개 시장 → 3개로 개편
명문 기업의 상징 1부 시장 61년 만에 없애고 3개 시장으로 개편
● 미국 증시 코멘트
출처 : eBest Global Market Daily / 시황정보 리포트(네이버 증권)
- 3대 지수는 모두 상승 마감했으나, 성장주의 강세가 두드러지며 나스닥(1.9%), S&P500(0.8%), 다우(0.3%)의 수익률 편차가 큰 모습. 경기에 대한 우려가 성장주의 상대 강세로 이어진 배경이 됐으며, 시장 컨센서스는 미 국채 장단기 금리차 역전을 침체가 임박한 것으로 해석하진 않는 것으로 보임
- 미 국채 10Y-2Y 장단기 금리차(-3bp) 역전이 지속되며 경기 둔화 우려 상존
- 유가는 지정학적 리스크가 재차 부각되며 4% 이상 상승
-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부차를 비롯한 여타 지역에서 러시아의 민간인 집단학살로 평화협상이 더 어려워졌다고 밝힘. 이에 EU가 추가 제재를 논의하고 있다고 알려졌으며, 미국 역시 충격 요법을 사용할 수 있다는 우려 부각
- 2월 신규주문은 -0.5% MoM로 컨센서스(-0.5%)에 부합했으나, 전월(1.5%)대비 하락. 한편 운송장비를 제외한 신규주문은 0.4% MoM 기록
'시황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4.07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4.07 |
---|---|
2022.04.06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4.06 |
2022.04.04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4.04 |
2022.04.01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4.01 |
2022.03.31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3.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