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주식/경제를 공부하면서 시황에 대한 부분과 삼프로 TV를 보고 정리한 내용들을 포스팅합니다.
《박병창의 마켓인사이트》
출처 : 삼프로TV
◈ 전일 해외 시장 흐름과 특징 ◈
> 나스닥 -1.54% (14,220p) / 다우 -1.56% / S&P500 -1.57%
> WTI 101.2$ / 달러인덱스 98.37 / 원화 1,214원 / 위안화 6.34위안
> 10년만기 국채 수익률 2.34% / 2년 만기 2.33% / 3개월 만기 0.51%
> 특징:
· 보합권 시작 → 등락 → 장 마감 1시간 전 급락 (분기 말 매물 출회)
· 금리 인상 스케줄 + 우크라 전쟁 회담 → 반등 랠리
· 인플레 장기화 + 경기 성장 둔화 → 차일 실현 후 관망
· 2월 PCE +6.4% / 코어 PCE +5.4% (컨센 +5.5%)
· PC 수요 부진 우려 → 메모리 반도체, PC 관련 섹터 하락 (AMD, HP, DELL 등)
◈ 전일 국내 시장 흐름과 특징 ◈
> 코스피 +0.40% (2,757P) / 코스닥 +0.58% (944P)
> 수급 : 개인 -128억 / 외국인 -1,739억 / 국내 기관 +1,887억
> 특징 :
· 기관 매수로 지수 방어 / 외국인 매도로 대형주 상대 약세 지속
· 장중 바이든 비축유 방출, 중국 PMI 예상 하회 반영
· 코스피는 보험, 은행, 화학주 강세 / 코스닥은 2차전지, IT 소재 강세
· 전선주 급등 / 비료 수산 사료 농업 시멘트 수소 등 개별 급등
(월 말 : 외국인 선물 매도 일부 환매, 금융 투자 프로그램 매수)
◈ 시장 이슈 ◈
1. 러시아, 푸틴 원자재 (천연가스) 결제 루블화 행정명령 서명
거부하면 공급 차단 → 유럽 인플레, 경기 위축 우려
2. 바이든, 약 6개월간 전략 비축유 100만 배럴 / 일 방출
3. 미국, 인도 러시아산 원유 수입 증대 제동
4. OPEC+, 5월 하루 43.2만 배럴 증산 합의
5. 독일, 러시아 가스 대체할 호주 그린 수소 수입 추진
6. 바이든, 미국 내 배터리 광물 생산에 7.5억$ 지원
국방물자 조달법' 발동 / 리튬, 니켈, 흑연, 망간 등 생산 기업 지원
7. 미 상원, 반도체 법안 통과 :
약 520억$, 반도체 생산, 연구개발 위한 보조금 지원
8. 중국 3월 PMI 예상 하회
제조업 PMI 49.5 (컨센 49.8) / 서비스업 PMI 48.4 (컨센 50.3)
9. 세계 최대 냉각수 공장 가동 중단 - 반도체 생산 차질 ?
세계 공급의 80% 점유율의 3M 벨기에 공장 가동 중단 (환경 규제)
10. 석유 지고, 수소 뜬다 - 월간 IB 보고서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에너지 전환 가속도
독일 기업, 러시아 가스 대체할 호주 그린 수소 수입 추진
독일 최대 에너지 그룹 'E.ON'과 호주 재생 에너지 기업 MOU
30년까지 연 500만 톤 수소 생산 → 유럽 공급
신정부, 미래 동력 '수소' 지원 - 정유, 화학 기업 가속
산자부, 미국 등 해외 기업과의 합작 법인 설립 및 투자 유치
(SK E&S와 플러그 파워 합작법인 공동 투자)
포스코 인터내셔널 - 호주 가스기업 인수)
11. 카카오 모빌리티 - 자율주행 로봇 배송 플랫폼 개발
자율주행 로봇 기술 스타트업 '뉴빌리티' 와 협업
관제 플랫폼 구축 (최적 경로, 운행 데이터, 실시간 배송 모니터링 등)
12. 현대위아, 미래 모빌리티 부품 + 로봇 가속화
통합 열관리 시스템, 자율주행 기반 '스마트 제조 솔루션' 개발
13. TSMC 회장, 세계 시장에서 가전, PC, 스마트폰 수요 감소 조짐
대만 반도체 협회 행사 - 애플 SE 감산, 중국 PMI 하락 등 사례
◈ 1분기 리뷰 및 2분기 전망 (미국) ◈
1분기 리뷰 :
1월 시작부터, 금리 인상 (긴축) 우려 하락 (1차 하락) →
1월 말 ~ 2월 중순 반등 → 우크라 전쟁 2월 중순 ~ 말 (2차 하락)
2월 말 ~ 3월 초 반등 → 인플레, 경기 둔화, 3월 초 ~ 14일 (3차 하락(
3월 14일 ~ 반등 후 조정 (현재)
→ 급등 후 하락 조정 구간인 2010~11년, 2018~19 년과 유사한 흐름 예상
◈ 1분기 리뷰 및 2분기 전망 (국내) ◈
코스피 1월 고점 3,000p 대비 -8% / 최고점 대비 -17%
코스닥 1월 고점 1,040p 대비 -9% / 최고점 대비 -10%
코스피 상대 약세 : 외국인 2월 중순 이후 매도 지속 (환율 연계)
우크라 전쟁 → 러시아 제재 → 유럽 물가 급등 → 경기 침체
///// → 유로화 약세 → 달러 강세 → 원화 약세 → 외국인 매도
///// → 대형주 약세 → 중소형주, 테마별, 이슈별 종목 장세
→ 우크라 전쟁 휴(종)전, 물가 지표 둔화 확인하며 제한적 반등 후 중장기 박스권 진입
◈ 관심 이슈 및 섹터 ◈
1분기 강세는 ...
우크라이나 전쟁 → 원자재, 농수산물, 원유 가격 급등 연동한 섹터 강세
(정유, 철강, 비철금속, 농수산물, 물류, 사료, 비료 등)
신정부 출범 정책 변화 → 건설, 원자력, 리모델링 등
2분기 예상은...
신정부 출범 → 글로벌 경기 사이클 연동 속에 (전쟁 후, 신정부) 정책 테마
리-오프닝 → 가시적 실적 턴어라운드 확인 / 호비 + 수출 교역 관심
구조적 성장 → 자율주행 전기차, 신기술 제품의 시스템 반도체 + 디스플레이
금리 상승 → 현금 흐름 (많은 ) 기업으로의 차별화
● 미국 증시 코멘트
출처 : eBest Global Market Daily / 시황정보 리포트(네이버 증권)
- 미국 증시는 인플레이션 우려로 하락. 인플레 우려가 통화정책 전환 가속화뿐만 아니라 경기 둔화 우려로 까지 확대되면서 3대 지수 모두 1.5% 대의 낙폭 기록
- 미 국채 10Y-2Y 금리차는 전일 4bp에서 재차 축소되어 +0.35bp에 그침
- 유가 하락: 바이든 대통령이 사상 최대 규모의 전략적 비축유 방출 발표 때문. 5월부터 6개월간 100만bpd 방출 계획이며, 이외에도 동맹국들의 전략비축유 방출, 원유 시추 확대 등을 언급. 더불어 베네수엘라 국영 에너지 기업 PDVSA가 미국의 제재 완화를 예상하며 수출 확대를 위한 유조선 구매 및 임대 협상 중이라는 로이터 보도. 한편OPEC+는 5월 43만bpd 증산을 결정하면서, 기존(40만bpd) 대비 소폭 증산 폭 확대
- 개장 전 발표된 PCE물가와 개인소비지출 등이 우려 요인으로 작용
- 2월 개인소비 지출은 0.2% MoM으로 컨센서스(0.5%) 하회
- PCE물가는 0.6% MoM, 6.4% YoY로 전월(0.5% MoM, 6.0% YoY)대비 상승 폭 확대. 다만 Core PCE물가는 0.4% MoM, 5.4%YoY로 컨센서스(0.4% MoM, 5.5% YoY) 에 대체로 부합. 가솔린과 렌트, 식품 가격 상승이 다른 소비 위축으로 이어짐에 따라 시장은 이를 부정적으로 해석
- 주간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는 20.2만건으로 컨센서스(19.7만)를 소폭 상회했으나 여전히 낮은 수준. 더불어 시카고 PMI는62.9로 컨센서스(57.0)를 상회. 변동성은 높지만 ISM 지수와 유사한 흐름을 보이는 지표
'시황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4.05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4.05 |
---|---|
2022.04.04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4.04 |
2022.03.31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3.31 |
2022.03.30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3.30 |
2022.03.29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3.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