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주식/경제를 공부하면서 시황에 대한 부분과 삼프로 TV를 보고 정리한 내용들을 포스팅합니다.
《박병창의 마켓인사이트》
출처 : 삼프로TV
◈ 전일 해외 시장 흐름과 특징 ◈
> 나스닥 +1.84% (14,619p) / 다우 +0.97% / S&P500 +1.23%
> WTI 105.2$ / 달러인덱스 98.4 / 원화 1,209원 / 위안화 6.36위안
> 10년만기 국채 수익률 2.39% / 2년 만기 2.37% / 금 1,918$
> 특징:
· 우크라 - 러시아 협상 진전 → 유럽 3% 상승 (전쟁 후 하락 만회)
→ 주요 원자재, 농수산물 가격 하락 → 성장주 상승
· VIX 18.9 (고점 37) → 전쟁 우려의 하락은 거의 만회
· 장단기 금리차 점차 축소 → 긴축 + 전쟁 후유증의 경기 위축 우려
· 자동차, 여행, 빅테크 강세 / 에너지 약세 / 로빈후드 +24%
◈ 전일 국내 시장 흐름과 특징 ◈
> 코스피 +0.42% (2,741P) / 코스닥 +1.16% (937P)
> 수급 : 개인 -85억 / 외국인 -2,834억 / 국내 기관 +3,270억
> 특징 :
· 금융 투자 프로그램 매수 +4,252억 → 시총 상위 10, 강보합권
· 코스닥 상대 강세 → 제약 바이오, 화장품 강세
· 시총 상위 강세 종목 : 만도 +8%, 테크윙 +8%, 에스엘 +5.5%,
엘엔에프 +5%, 카카오게임즈 +4.8%, 천보 +6%, 네이쳐셀 +10%,
케어젠 +23%, 다날 +6.3%
◈ 오늘 시장 전망과 투자전략 ◈
코스피 상대 약세 : 외국인 매도 지속 : 3월 -4.93조
/////////////////// 국내 기관 3월 -1.95조 / 개인 +6.65조
→ 환율 1,200원 하향, 미국 시장 확실한 강세 전환되어야
미국, 유럽 하락 폭 거의 만회
고점 대비 현재 : 나스닥 -7.7% (저점 -20%), 다우 -4.4%
//////////////// /S&P500 -3.8% (독일 3월 저점, -14% → +2.5%)
FOMC 5월, 우크라 전쟁 휴(종)전 → 환율 하락 기대
→ 외국인 매도 감소 (매수 전환), 대형주 상승, 지수 안정 속 실적 시즌 종목 장세
◈ 시장 이슈 ◈
1. 우크라 - 러시아 협상 진정
러시아 국방부 차관 - 우크라 수도 주변의 군사활동 대폭 축소
우크라 - 중립국화 동의 (안보 조장 전제)
2. 마이크론 컨센서스 상회 실적 발표 - 시간 외 상승
영업이익 27.5억$ (컨센 24.9억$)
다음 분기 영업이익 전망 85억$ - 89억$ (컨센 82억$)
3. 반도체 소부장 기업 → 뱉리 소부장 진출
동진쎄미켐 (배터리 소재 슬러리 개발) 솔브레인 (전해액)
네패스, 알파홀딩스 등 / 반도체 소부장 노하우로 신규 진출
4. 미국 국채 수익률 장단기 스프레드 축소 (역전)
과거 장단기 금리차 역전 후 17개월 뒤 경기 침체 (통상?)
5년 - 30년 역전 / 2년 - 10년 근접 → 23년 경기 침체 우려
→ 시장 상단을 막는 요인 / 반등 후 박스권, 종목 장세 전망 우세
5. 2차 전지 구조적 성장 - 주가 조정, 다시 관심 부각
견고한 전기차 시장, 배터리 공급 여전히 부족, 미국 시장 본격화
에코프로비엠, 엘앤에프, 천보, LG에너지솔루션, 포스코케미칼
6. 대통령 인수위, "반도체 컨틴전시 플랜 가동"
세액 공제 6% → 20%로 확대 (미국 40%) / 1위 수출 산업 확실한 지원
● 미국 증시 코멘트
출처 : eBest Global Market Daily / 시황정보 리포트(네이버 증권)
-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 기대와 양호한 경제지표 등으로 주요 지수 상승 마감했으며, 3대 지수 중 나스닥이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고, 러셀 2000이 더 크게 반등- 유가는 러-우 간 협상 진전 소식에 급락. 다만 점진적으로 낙폭 만회하며 마감- 전일 미 국채 30Y-5Y 금리 역전에 이어, 10Y-2Y 금리차는 추가적으로 축소. 10Y는 -6.4bp로 2.39%, 2Y는 +3.7bp로 2.36% 기록. 금리차는 3bp에 그침
- 개장 전 러시아-우크라이나 간 협상이 종료됐는데, 긍정적인 소식이 전해짐. 러시아는 키이우와 북부 주변 군사활동 축소를 약속했고, 정상회담 가능성도 언급됨
- 경제지표는 양호한 모습. 2월 JOLTs Job Openings는 1,126.6만 건으로 전월 1,128.3만 대비 소폭 하락했고, 컨센서스(1,100만)를 소폭 상회. 더불어 근로자들의 일자리 전망을 보여주는 자발적 퇴직도 440만 명으로 전월(430만) 대비 상승- 컨퍼런스보드 소비자 신뢰지수는 107.2pt로 컨센서스(107pt)를 소폭 상회했고, 전월(105.7pt)대비 상승. 다만 전월은 110.5pt에서 105.7pt를 크게 하향 조정됐고, 현재 상황(145.1pt)과 미래 기대치(87.5pt)는 Gap이 확대- 1월 S&P 케이스실러 20개 도시 주택 가격지수는 19.1%로 전월(18.6%) 대비 상승 폭을 확대했고, 컨센서스(18.4%)도 상회
-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은 총재는, 필요시 연준이 기준금리를 50bp 인상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고 밝힘. 특히 이전 예상(25bp씩 7회 인상) 보다 빨라질 수 있다고 언급했고, 5월 FOMC에서 50bp 인상 가능성도 밝힘
'시황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4.01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4.01 |
---|---|
2022.03.31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3.31 |
2022.03.29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3.29 |
2022.03.28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3.28 |
2022.03.25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3.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