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황공부

2022.03.28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by yunms0321 2022. 3. 28.

안녕하세요. 주식/경제를 공부하면서 시황에 대한 부분과 삼프로 TV를 보고 정리한 내용들을 포스팅합니다.

출처 : 네이버 증권

 

 

《박병창의 마켓인사이트》

출처 : 삼프로TV

 

 

◈ 지난주 해외 시장 흐름과 특징 ◈
> 나스닥 +1.98% (14,169p) / 다우 +0.31% / S&P500 +1.79%​
> WTI 112.5$ / 달러인덱스 98.84 / 원화 1,225원 / 위안화 6.36위안
> 10년만기 국채 수익률 2.48% / 2년 만기 2.28% / 금 1,955$ 

> 특징:
· 3월 셋째 주 급반등 → 지난주 등락, 빅테크 상승
· 유가 재 상승 : 카스피 송유관 중단 등 주요 송유관 폐쇄 예고
· 국채 수익률 상승 지속 : 연준 위원들 금리인상 매파적 발언
· 바이든, 인텔 - 반도체 지원법 압력 / 인텔 - 엔비디아 협력?
· 주간 실업수당 청구건수 18.7건  → 강한 고용시장



◈ 지난주 국내 시장 흐름과 특징 ◈
> 코스피 +0.85% (2,729P) / 코스닥 +0.32% (934P) 
> 주간 수급 : 개인 +1.5조 / 외국인 +2,521억 / 기관 -1.85조

 

> 특징 : 
· 외국인 비차익 프로그램 매도 지속 / 삼성전자 블록 매수
· 코스피 1월 급락 후 하단 박스권 2개월째
  (외국인 매도 지속 VS 저가 매수세 진입, 삼성전자 약세 지속)
· 코스닥 2월 10일, 3월 4일 박스권 고점 상향 돌파
  (테마 순환 강세, 낙폭과대주 반등)
· 신정부 정책 기대 : 건설, 철강, 원전 강세
· 원자재, 농수산물 인플레 : 사료, 수산, 농업, 비료 강세



 이번주 주요 이슈  
29일 : 미국 케이스실러 주택가격지수
30일 : 마이크론 실적 / 미국 ADP 고용 보고서 / 4Q GDP 예비치
31일 : 중국 3월 제조업, 서비스업 PMI
//////   미국 2월 PCE, 개인 소비, 개인 소득
1일 : 미국 비농업 신규고용 보고서, 실업률 / 한국 3월 반도체 수출

→ 우크라 - 러시아 휴전회담 / 연준 인사들 연설
→ 실적 발표 시즌 진입 / 미국 고용 및 물가 지표



◈ 이번주 시황 전망 / 투자전략 ◈
지난 2주간 반등 - 유가 재상승, 국채 수익률 급등 불구 반등
금리 인상, 우크라 전쟁 - 반영되면서 바닥 심리 어느 정도 형성

낙폭과대 빅 테크 반등 - 추가, 강한 반등 모멘텀 부재
반대로, 강한 하락 역시 신규 악재 있어야.

수급, 심리를 반영한 차트 - 코스피는 상대 약세
코스닥, 나스닥은 상승 탄력 있으나, 상승 시 매물 출회 예상

실적 시즌 진입, 테마 수급 쏠림 → 종목 장세




◈ 주요 이슈 ◈
1. 장단기 금리차 축소와 경기 침체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 2.48% / 2년 2.28% / 3개월 0.535%
10년 - 장기 성장 전망 / 2년 정책금리 연동, 기업 자금 조달 금리
3개월 - 금융 시장 단기 자금 조달
→ 장기 금리가 동시에 상승하면 경기 침체 우려 감소
→ 2년 만기 수익률만 상승하면 미래 금리 반영의 채권 시장 수급
→ 3개월 금리 급등하면, 금융시장 불안 반영하는 것


2. 미국, 중국 빅테크 강한 반등
알리바바 자사주 매수 규모 확대 - 중국 테크주 급반등
중국 정부, 미국 상장 기업 회계 정보의 제한적 공개
일론 머스크 '테스라 플랜3' 일부 공개
미국 반도체 지원법 - 인텔 투자, 엔비디아 -인텔 협력
지난주 15일 저점 형성 후 애플 +15%, 테슬라 +32%, 엔비디아 +30%,
/////////////////////////////  인텔 +16%, 마이크론 +15%
중장기 반도체 / 파운드리 경쟁 심화
미국, 유럽의 TSMC, 삼성전자 등 아시아 의존도 축소 전략


3. 미국, 한국에 '칩4 동맹' 제안
일본, 대만에도 개별 참여 요청 - 반도체 망에서 중국 고립 전략?


4. 1Q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이익 추정치 하향
중국 봉쇄, 우크라 전쟁으로 생산 차질 / 삼전은 세트 원가 상승
SK하이닉스는 인텔 낸드 사업부 인수 비용 반영
→ 2-3분기 메모리 반도체 가격 상승으로 매수 의견 보고서들


5. 반도체 소, 부, 장 차별적인 실적 성장
구조적인 장시 성장 / 공정 난이도 상승으로 증설 진행
사상 최대 실적 행진 기업 다수 - 재평가 필요한 시기 ?


6. 기아, 25년 만에 국내에 공장 건설
화성에 '주문 제작 차량' , '픽업 트럭'
- 미래차 전용 생산 시설


7. 삼성 - LG 드디어 손잡는다?
OLED 공조, 가격 막바지 논의, LG 디스플레이 4월부터 삼성에 공급
OLED TV 패널 확대는 소, 부, 장 기업에 큰 기회


8. 우크라 전쟁 → 블랙록 등 주요 금융기관 30년 세계화 시대 끝났다 ?
앨런 장관 : 전쟁 후유증 → 세계화 다시 추진해야 한다
우크라 전쟁을 이유로, 대 중국 제재 적절치 않다
22년 인플레 우려 → 미국 경기는 연착륙할 것
신재생 에너지 빠르게 증가해야 - 에너지 패권 축소

 

 


● 미국 증시 코멘트

출처 : eBest Global Market Daily / 시황정보 리포트(네이버 증권)

 

 

- 3대 지수 혼조세로 마감했으나, 금리 및 유가상승 대비 견조한 흐름


- 주요 IB들이 기준금리 전망을 상향하고, 유가가 재차 상승하며, 미 국채금리가 큰 폭으로 상승(2년물 +13.1bp, 2.27% / 10년물 +10.1bp, 2.47%)


- Citi와 BOA 등이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전망 변경. Citi는 향후 4번의 FOMC에서 매번 50bp씩의 인상을 전망하고, 75bp 인상 가능성도 언급. BOA는 6, 7월에 50bp씩 금리 인상 및 2023년 3.00~3.25%까지 기준금리 인상 전망


- 사우디 제다 소재, 아람코 석유 저장소가 미사일 공격을 받아 화재 발생. 이로 인해 유가상승. 한편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이달 28~30일 즈음 5차 회담 예정


- 한편, 바이든은 핵공격에 대해서만 핵무기를 사용한다는 "단일 목적 정책"을 폐기하고, 러시아에 대한 강경한 대응을 이어가는 가운데,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서부 르비우의 군사 목표물에 미사일 공격


- 3월 미시간대 소비자 신뢰지수 11년 만의 최저 수준인 59.4pt로 컨센서스(59.7pt) 하회. 인플레이션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 기대 인플레도 1981년 이후 최고치인 5.4%로 전월(4.9%)비 상승


- 2월 잠정주택판매지수는 104.9pt(-4.1% MoM)로 컨센서스(+1.0% MoM) 하회


- 한편 주말 동안, 로이터에 따르면 백악관이 28일 1억 달러 이상의 자산가들에 대해 20% 이상의 세율을 부과하는 억만장자 최소 소득세가 포함된 2023회 회계연도 예산안을 의회에 제출할 예정이라고 보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