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주식/경제를 공부하면서 시황에 대한 부분과 삼프로 TV를 보고 정리한 내용들을 포스팅합니다.
《박병창의 마켓인사이트》
출처 : 삼프로TV
◈ 전일 해외 시장 흐름과 특징 ◈
> 나스닥 -1.22% (13,453p) / 다우 +0.71% / S&P500 -0.06%
> WTI 102.4$ / 달러인덱스 100.3 / 원화 1,234원 / 위안화 6.41위안
> 10년만기 국채 수익률 2.83% / 2년 만기 2.57% / 3개월 만기 0.82%
> 특징:
넷플릭스 영향 - 거래대금 1위, -35.12%, JP 모건 TP 50% 하향
메타 -7.7%, 테슬라 -4.9%, 엔비디아 -3.2%
IBM +7%, ASLM, MS, 인텔, 마이크론은 상승
테슬라, 기대 이상 실적 발표 → 시간 외 상승 +5%
→ 실적 발표로 주가 차별화, 종목 장세
◈ 전일 국내 시장 흐름과 특징 ◈
> 코스피 -0.01% (2,718P) / 코스닥 -0.28% (928P)
> 수급 : 개인 +738억 / 외국인 +943억 / 국내 기관 -1,612억
////////// (투신 +437억, 연기금 +521억)
> 특징 :
비차익 매수 +1,500억 → 외국인 삼전 -1.300억 등 매도
나스닥 선물 -1%, 상해 -1.35% → 코스피 선방
철강, 자동차, 음식료 상승 / 사료, 육계, 조선, 건설, 엔터 하락
◈ 오늘 시장 전망과 투자전략 ◈
나스닥 하락은 넷플릭스 영향 / IT 관련주는 선방 / 테슬라 호실적
→ 실적 발표, 주가 차별화
환율 약세 지속 → 외국인 매도 지속 → 대형주 상대 약세
반가운 기관 매수 → 심리 개선 → 중소형주 차별화 강세
반도체 투자 + 애플, 테슬라 향후 수혜 기업 기대 + 미래차 상승
→ 시장은 관망, 수급은 변화, 종목은 차별화
◈ 시장 이슈 ◈
1. IMF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 비교
2. 미국 주택경기 둔화 전망
→ 모기지 금리 상승으로 신규 주택 구매 둔화
(참고 : 국내, 신정부 5년간 250만 가구 공급 공약)
3. K 배터리 3사 실적 차별화
영업이익 추정 LG엔솔 약 2,589억, 삼성 SDI 약 2,864억, SK온 약 1,800억 손실
원통형 배터리 호조로 차별화 발생
(원통형 배터리 : 전동공구, 무선 청소기 등 가전 수요 증가)
4. 삼성전기, 애플향 FC-BGA (기판) 공급 유력 (전자신문)
애플 자체 개발한 칩, 공동 개발 참여
5. 현대차, 기아 1분기 유럽 판매량 전년비 +21.3%
현대차 +14.7%, 기아 +27.6% / 1분기 유럽 시장 점유율 9.8% 3위
6. 삼성전자 5월 첫 주부터 평택 P3 반도체 장비 셋업
22년 하반기 완공 예정 / 반도체 단일 공장 세계 최대
7. 전기차 두 개의 심장, 구동모터와 배터리
- 구동모터, 감속기 부각
8. 월드 IT 쇼 2022, 4월 20일 ~ 3일간 코엑스
SKT, KT, 삼성전자, LG전자 등 AI, 로봇, UAM 기술 발표
9. 반도체 필수 소재 '감광액' 재고 소진 - 마지노선 3개월치 붕괴
일본 의존도 높은 포토레지스트 수급 우려
10. 대형 IPO, 외국인 차익 창구 ?
보호예수 국내 기관 최장 6개월, 외국인은 의무 보유 확약 면제
LG엔솔 외국인 배정 1,285만주 / 상장 첫날 68% 급등
상장 첫날 외국인 순매도 1.5조 (배정 물량의 약 22% 매도)
외국인, 공모주 청약 의무보유 미확약 비중
카뱅 72.6%, LG엔솔 72.9%, 카카오페이 74%, 크래프톤 80%
→ 기관, 외국인 청약 배정 구분
→ 상장 기업들의 외국인 투자 선호
● 미국 증시 코멘트
출처 : eBest Global Market Daily / 시황정보 리포트(네이버 증권)
- 지수별로 혼조세를 보였는데, 긍정적인 실적을 발표한 PG와 IBM이 포함된 DOW는 +0.71% 상승. NASDAQ은 -1.22% 하락했는데 NFLX 가입자 수 감소로 주가가 -35% 하락하며 지수 하락 견인
- 베이지북에선 미국 경제는 4월 중순까진 보통(moderate) 속도로 성장했지만 물가상승과 지정학적 리스크로 불확실성이 커졌고 향후 전망이 불투명해진 상황이라고 언급. 또한 지난 베이지북 공개 이후에도 인플레이션 압력은 여전히 강했고, 기업들은 빠르게 증가하는 비용을 고객들에게 전가하고 있다고 평가
- 미국 모기지 금리가 빠르게 상승하면서 주택 매매는 둔화됐고, 3월 미국 주택 가격은 사상 최고치 경신. 3월 기존주택매매는 -2.7% MoM, -4.5% YoY 감소. 다만 3월 기존주택 가격 중간값은 +15% YoY 상승했고 여전히 공급이 제한된 상황이기 때문에 부동산 가격은 계속 상승할 것으로 예상
- EIA는 원유재고가 전주 대비 802만 배럴 감소했다고 발표했고 WTI는 +0.62% 상승
'시황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4.25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4.25 |
---|---|
2022.04.22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4.22 |
2022.04.20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4.20 |
2022.04.19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4.19 |
2022.04.18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4.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