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주식/경제를 공부하면서 시황에 대한 부분과 삼프로 TV를 보고 정리한 내용들을 포스팅합니다.
《박병창의 마켓인사이트》
출처 : 삼프로TV
◈ 전일 해외 시장 흐름과 특징 ◈
> 나스닥 -2.07% (13,174p) / 다우 -1.05% / S&P500 -1.48%
> WTI 103.2$ / 달러인덱스 100.6 / 원화 1,242원 / 위안화 6.45위안
> 10년만기 국채 수익률 2.90% / 2년 만기 2.67% / 3개월 만기 0.81%
> 특징:
강세 출발 → 파월 연설 → 실적 우려 빅테크 하락 → 하락 마감
장중 변동성 나스닥 4%, 다우 3%
메타 -6%, 넷플릭스 -3.5%, 페이팔 -6%, 엔비디아 -6%
테슬라 +3.23% / 항공주 강세
→ 1분기 실적 감익 우려 속 넷플릭스 충격으로 투심 악화
◈ 전일 국내 시장 흐름과 특징 ◈
> 코스피 +0.35% (2,728P) / 코스닥 +0.08% (929P)
> 수급 : 개인 -5,667억 / 외국인 -577억 / 국내 기관 +6,366억
////////// (투신 +145억, 연기금 +759억, 사모 +499억)
> 특징 :
해외 시장 대비 상대 강세
투신 + 연기금 순매수 / 미래차 + 조선 + 애플, 테슬라 수혜
호실적 IT 선별 강세 / 원전, 농업, 수산 등 테마
◈ 오늘 시장 전망과 투자전략 ◈
미국 시장 2분기 실적 감익 우려 속 일부 종목 낙폭으로 심리 훼손
→ 우려 기업 실적 마무리 확인, 다음주 중반
(MS 25일, 구글 26일, 애플 아마존 27일)
→ 이후는 5월 FOMC 영향
환율 약세 지속 → 외국인 매도 지속 → 대형주 상대 약세
나스닥 하락, 환율 상승 → 1% 전후 하락, 종목별 반등, 기관 수급
일주일 수급 : 개인 -7,340억, 외국인 -279억, 기관 +7,930억
(투신 +1,191억, 연기금 +2,972억)
◈ 시장 이슈 ◈
1. 우크라이나 전쟁 파장 악화
유럽 러시아산 원유 수입 금지 논의
달러 표시 채권 이자 루블화 지급 - 디폴트 확률 93%, CDS 급등
2. 팬데믹 종료 후 수혜 기업 전망 우려
미국 코로나 안정 후 매달 주문 5% 감소
대형 배달 대행업체 '그럽허브' 매각 추진
3. MSCI 정기 변경, 5월 13일 발표, 31일 리밸런싱
편입 추정 : 현대중공업, KT
편출 추정 : 씨젠 , 녹십자 (가능성 : SKT, 롯데쇼핑, 알테오젠)
4. 최근 3개월 글로벌 지수 및 섹터 수익률 현황
국가별 : 전세계 -6.1%, 선진국 -5.4%, 신흥국 -10.9%
평균보다 강세 : 다우, 캐나다, 브라질, 멕시코, 호주, 싱가폴, 인도네시아
///// 약세 : 나스닥, 독일, 프랑스, 중국, 홍콩, 대만
미국, 강세 섹터 : 에너지, 필수소비재, 소재, 유틸리티
///// 약세 섹터 : 금융, 임의소비재, IT, 커뮤니케이션, 미국 장기채
한국, 1개월 강세 섹터 : IT가전, 통신, 자동차, 의류, 조선, 보험, 에너지
///// 약세 섹터 : 반도체, S/W, 건설, 건강관리, 유틸리티
섹터별 시총 상위, 강세 : 현대중공업, 고려아연, S-OIL, 한전 KPS
///// 약세 : 삼전, 현대모비스, 크래프톤, LG화학, SK바이오, SK이노베이션
5. 외국인 순매도 지속, 오히려 비중 증가 업종은 ?
코스피 외국인 지분율 20년 3월 39.3% → 22년 1월 33.5% → 22년 4월 31.2%
비중 증가 섹터 : 에너지, 비철금속, 목재, 상사, 자본재, 운송, 은행
비중 감소 섹터 : 화장품, 의류, 디스플레이, 소프트웨어, 화학, IT
6. LG 마그나, 멕시코에 전장 부품 공장 착공
23년 완공, 북미 전기차 시장 공략
GM 전기차에 구동모터, 인버터 공급
● 미국 증시 코멘트
출처 : eBest Global Market Daily / 시황정보 리포트(네이버 증권)
- 과거보다 더 빠른 속도로 긴축이 진행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미국 3대 지수 모두 하락. DOW -1.05%, S&P50 -1.48%, NASDAQ -2.07% 기록
- 제롬 파웰 연준의장은 5월 FOMC에서 50bp 금리인상을 고려하고 있다고 언급. 물가안정을 회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인플레이션 고점에 대해선 확신할 수 없다고 강조.따라서 5월 FOMC 이후에도 가파른 금리인상이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 미국채 2년 물 금리는 하루만에 +10.7bp 상승했고, 10년물 금리 역시 +7.8bp 상승. 반면, 미국 노동시장에 대해선 지나치게 과열되어 있다며 노동 수급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다고 경고
- 4월 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 지수17.6pt로 전월 27.4pt, 예상치 21.9pt 모두 하회. 신규수주, 출하지수는 모두 전월대비 하락했지만 가격 지불 지수와 고용지수는 여전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음
- EU 내 러시아산 원유 단계적 수입금지 가능성 제기, 리비아의 원유 공급 차질 등으로 WTI는 +1.6% 상승
'시황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4.26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4.26 |
---|---|
2022.04.25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4.25 |
2022.04.21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4.21 |
2022.04.20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4.20 |
2022.04.19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4.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