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주식/경제를 공부하면서 시황에 대한 부분과 삼프로 TV를 보고 정리한 내용들을 포스팅합니다.
《박병창의 마켓인사이트》
출처 : 삼프로TV
◈ 전일 해외 시장 흐름과 특징 ◈
> 나스닥 +1.59% (11,535p) / 다우 +1.98% / S&P500 +1.86%
> WTI 110.5$ / 달러인덱스 102.0 / 원화 1,258원 / 위안화 6.65위안
> 10년만기 국채 수익률 2.86% / 2년 만기 2.62% / 3개월 만기 1.04%
> 특징:
7주 하락 후 반등 → 저가 매수, 자율반등
(다우 지수 8주 연속 하락은 1923년 이후 처음)
국채 금리 하락, 달러인덱스 소폭 하락 → 잠시 멈춤
바이든, 중국 관세 완화 언급
애플 +4%, MS +3.2% / 스냅 시간 외 -30%
(인플레, 전쟁, 아이폰 정책 변화로 2분기 가이던스 미달)
◈ 전일 국내 시장 흐름과 특징 ◈
> 코스피 +0.31% (2,647P) / 코스닥 +0.42% (883P)
> 수급 : 개인 -1,654억 / 외국인 -293억 / 국내 기관 +1,686억
////////// (투신 -393억, 연기금 -585억, 사모 -780억, 프로그램 -354억)
> 특징 :
거래량, 강한 매수 및 매도 주체, 주도 섹터가 없는 시장
최근 이슈별 강세 종목 차익 매물 - 연속성 의심
지난주 후반부터 제약 바이오 반등 → 빈집 공략
대형주는 밋밋 - 실적 연동 중소형주 등락 - 테마 소형주 급등락
◈ 오늘 시장 전망과 투자전략 ◈
매크로, 경기 침체 우려 → 금리 하락, 경기지표 하락, 기업 이익 하향
//////// 연준의 인플레 제어 우선 정책 → 고용 훼손, 소비 둔화
//////// 5~6월 물가 지표 확인 → 4월은 WTI 하락, 5월 CPI 우려
//////// 연준 딜레마 속 물가 제어 후 경기 부양의 시장 의심
국내, 박스권 하단 붕괴 후 빠른 회복 - 다시 박스권 진입 후 눈치 보기
////////지수는 저점 및 매수 시그널 없이 등락
////////종목은 저점 확인 후 상승 종목 발생 - 직전 고점에서 소강
////////기관 저점 매수 후 빠른 차익 매물 - 단기거래
////////원화 하향 안정 → 종목 장세
◈ 시장 이슈 ◈
1. 중국 주식 긍정론 확대 (블룸버그)
중국 주식 하락 베팅, +138% 매니저 → 긍정으로 전망 전환
상하이 봉쇄 완화 + 경기 부양책 기대
자동차 및 부품, 경기 소비재 관심 / 최근 외국인 자금 유입
2. ECB, 7월 6년 만에 금리 인상으로 제로금리 탈출 예고
3. 월가, S&P 지수 전망 혼조
긍정 전망 - 부정 전망의 격차 37% (20년 팬데믹 불확실성 수준)
4. 삼성전자, 7월 반도체 + 스마트폰 사업부 합작 TF 출범
갤럭시 전용칩 2025년 상용화 목표 → 애플 칩과 경쟁
시스템 반도체 강화 → 자체 AP 구축으로 미래 디바이스 경쟁력 확보
5. 기아 목표주가 상향 - 삼성증권
점진적 생산 회복, 원화 약세, 제품 믹스로 22년까지 실적 성장
전기차 OPM 3.5% → 5.7% 전망
6. 건설사들, 알짜 재개발 사업까지 수주 포기
3월 기준 건설자재비 22.46% 상승
경기 성남 신흥 1구역 재개발 설명회 - 건설사들 불참
7. 현재가 된 미래 - 로봇 (키움증권)
글로벌 로봇 시장 향후 5년간 연평균 15 ~ 20% 성장
산업용 로봇 → 서비스 로봇 → 전문 서비스
이커머스, 노동인구 부족, 인공지능, 자율주행 등 인접 기술발전
전문 서비스 분야 : 의료, 물류, 국방, 농업
주요 로봇 기술 : 인공지능, 조작 제어, 자율주행, 인간과의 인터페이스 센서 및 액추에이터
성장 : 삼성전자, LG전자, 현대차 등 로봇 사업 전략적 육성
● 미국 증시 코멘트
출처 : eBest Global Market Daily / 시황정보 리포트(네이버 증권)
- 주요 지수 상승 마감. 바이든의 대중 관세 인하 고려 발언과 JPM의 이자 수익 전망 상향 등의 영향. 다만 글로벌 IB들은 추세 전환보다는 단기적인 반등으로 보는 시각이 더 많은 상황
- 미 국채 금리는 장기물 중심으로 상승. 달러는 크리스틴 라가르드 ECB 총재의 금리인상 발언으로 유로 강세 나타나며 1.0% 하락. 원달러(NDF)도 1,259원 마감
- 바이든이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인하를 결단할 것이라는 닛쥑이 신문 보도.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 보좌관은, 바이든 대통령이 대중 관세 인하가 인플레이션 대책이 될 수 있을지에 대한 분석 보고서를 받았다고 설명. 한편 재닛 옐런 재무장관은 지난 18일 G7 재무장관 회의에서 대중 관세 일부 철폐가 미국 인플레이션 완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 발언한 바 있음
- 다만 중국이 대만 침공시 군사적으로 개입할 것이라며, 하나의 중국 정책은 유지하나, 대만을 무력으로 접수할 권리는 갖고 있지 않다고 발언. 중국은 대만과 같은 핵심적 사안에 대해 타협할 여지가 없다고 반발
- 크리스틴 라가르드 ECB 총재는 3분기 초반 자산매입프로그램(APP)을 통한 순매수가 종료될 것으로 예상하며, 7월 금리 인상과, 현재 -0.5%인 예금금리가 33분기 말 마이너스에서 벗어날 것을 전망. 그녀는 소비와 투자 모두 COVID 쇼크 이전보다 낮고, 이전 추세보다 더 낮아질 수 있지만, 인플레이션 완화를 위해 금리를 포함한 명목 변수를 조정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밝힘
'시황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5.26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5.26 |
---|---|
2022.05.25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5.25 |
2022.05.23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5.23 |
2022.05.20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5.20 |
2022.05.19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5.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