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주식/경제를 공부하면서 시황에 대한 부분과 삼프로 TV를 보고 정리한 내용들을 포스팅합니다.
《박병창의 마켓인사이트》
출처 : 삼프로TV
◈ 지난주 해외 시장 흐름과 특징 ◈
> 나스닥 +8.18% (13,893p) / 다우 +5.55% / S&P500 +6.16%
> WTI 104.9$ / 달러인덱스 98.21 / 원화 1,211원 / 위안화 6.36위안
> 10년만기 국채 수익률 2.15% / 2년 만기 1.94% / 금 1,921$
> 특징:
· 지표의 변화 : 전쟁 관련 지표, 가격 하락 → 금리인상 지표
· 미국 3월 FOMC 회의 종료 (매파적, 불확실성 해소?)
· 연말 중위 금리 1.9% / 자산매각 (QT) 5월 회의에서 결정
· 파월 : 강한 고용 → 소비 위축 없다 → 경기 침해 가능성 낮다
· 우크라 - 러시아 상황 진전 기대
· 우크라 중립국 지위, 안전 보장 조치 논의 / 국채 이자 달러 지급
◈ 지난주 국내 시장 흐름과 특징 ◈
> 코스피 +1.72% (2,707P) / 코스닥 +3.5% (922P)
> 주간 수급 : 개인 +4,273억 / 외국인 -1.09조 / 기관 +6,550억
> 특징 :
· 주초 원화 1,244원, 외국인 매도 → 후반 환율 하락, 매수 전환
· 주초 : 중화권 증시 급락 → 중국 러시아 지원 ? 미국 대중 재제, 봉쇄령
위안화, 원화 동반 약세 : 외국인 매도 강화
· 주후반 : 중국 정부 경기 부양 및 자본시장 안정에 적극적 조치 마련
중국 정부 경기 부양 및 자본시장 안정에 적극적 조치 마련
홍콩, 중국 급반등 → 대량 비차익 매수 유입 → 반등
삼성 로봇, 메타버스 신사업 선정 → 관련주 급등
◈ 이번주 주요 이슈 ◈
21일 : 한국 수출입 동향 / 인민은행 LPR 결정 / 파월의장 연설
21일 - 24일 : 엔비디아 주체 GTC
23일 : 한국 2월 소비자물가 / 파월의장 연설
24일 : 한국은행 금융안정회의 /
미국, 독일, 호주, EU 3월 제조업, 서비스업 PMI
25일 : 24일 - 25일 EU 정상회담
→ 정기 주주총회 시즌 (신규 정책 관심) / 연준 인사들 대거 연설
◈ 이번주 시황 전망 / 투자전략 ◈
지난주 1월 하락 시작 이후, 주간 기준 가장 강한 반등 (월봉 상승)
단기 급반등으로, 나스닥 일봉 하락 추세선 상단 근접 (14,000p)
독일, 프랑스 등 유럽은 월봉 저점 -14% 거의 회복, 월봉 보합권
금리 인상 반영 : 빅테크 반등 및 채권 시장 변동성 둔화
우크라 전쟁의 반영 : 국제 원자재 가격 하락 안정
단기 급락 후 동시 만기 수급 영향 ? → 단기 되돌림 관찰
미국 3대 지수 및 국내 지수의 직전 고점 돌파 확인 필요
→ 돌파 후 재 반락 예상, 돌파의 강도로 향후 추세 전환 확인
◈ 주요 이슈 ◈
1. 월가 미국 증시 상반된 전망
JP 모건 : S&P500 연내 4,900P 간다 / 지금 매수 시작할 때
연초 모든 악재 집중, 하락 폭 감안, 하반기 정상 회귀 상승
골드만삭스 : S&P500 연내 4,050P 까지 하락할 수 있다
시장이 우크라 사태 과소평가 / 연준 긴축, 부양책 난항
2. 스리랑카, IMF에 자금 지원 요청 / 채무 구제 방안 협의 시작
3. 미국, '모기지 금리' 연 4.16%로 19년래 최고 수준
4. OECD, 우크라 전쟁으로 GDP 1% 하락, 물가 2% 상승 전망
5. 중국 정부, 미국 상장 기업 회계 정보의 제한적 공개 준비
6. 중국, 성장률 달성 위한 인프라 투자 속도
1분기 인프라 투자 약 10% 증가 / 에너지, 운송, 수자원 등
7. NFT 거래 급감, 가격 급락 (FT)
세계 최대 NFT 거래 플랫폼 '오픈씨' 거래대금 : 2.58억$ → 0.5억 $
평균 거래 가격 5,000$ → 2,500$ / 전체 컬렉션 중 70% 거래 전무
→ NFT 산업은 지속 발전하고, 주류 시장으로 진입하고 있지만 미성숙하다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 → 기초 자산을 담보로 만든 가상화폐
● 미국 증시 코멘트
출처 : eBest Global Market Daily / 시황정보 리포트(네이버 증권)
- 3대 지수 모두 상승하며 4거래일 연속 상승. 러시아-우크라이나 간 회담이나, 바이든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 간의 회담 등에서는 긍정적인 소식이 전해지지 못한 가운데 선물옵션 만기일에 따른 숏커버링에 대한 언급이 들리며 상승 마감
- 바이든과 시진핑의 회담에서는, 백악관이 중국의 러시아 지원을 경고했다고 밝혔음. 한편 중국 CCTV에서는 러시아만 아니라 서구권에도 문제가 있다고 보도
- 주말동안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에 이틀 연속 극초음속 미사일을 발사하여 우크라이나 군사시설을 파괴하고, 마리우폴 항복 요구 등 지정학적 리스크는 지속
- 리치먼드 연준 총재 토마스 바킨은 금리 경로가 경기 침체를 촉발해서는 안되며, 현재의 금리가 경제를 제약하는 수준과는 거리가 멀다고 발언. 금리를 지나치게 조정하면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언급
-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는 중앙은행이 올해 금리를 3%이상으로 인상, 대차대조표 축소를 시작했어야 한다고 언급. 강한 실질 경제 성장과 높은 인플레이션 조합을 근거로 정책금리가 너무 낮음을 주장
- 미셸 보우만 총재는 팬데믹이 진정되면서 취업 장벽이 낮아질 것이라고 언급. 경제 전망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음
- 전미부동산 협회에 따르면, 미국 2월 기존주택판매가 7.2% MoM 감소(컨센서스 1%감소)한 602만호로, 컨센서스(613만호) 하회
'시황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3.24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3.24 |
---|---|
2022.03.23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3.23 |
2022.03.22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3.22 |
2022.03.18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3.18 |
2022.03.17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3월 FOMC 결과 (0) | 2022.03.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