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황공부

2022.03.23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by yunms0321 2022. 3. 23.

안녕하세요. 주식/경제를 공부하면서 시황에 대한 부분과 삼프로 TV를 보고 정리한 내용들을 포스팅합니다.

출처 : 네이버 증권

 

 

《박병창의 마켓인사이트》

출처 : 삼프로TV

 

◈ 전일 해외 시장 흐름과 특징 ◈

> 나스닥 +1.95% (14,108p) / 다우 +0.74% / S&P500 +1.13%
​> WTI 108.7$ / 달러인덱스 98.4 / 원화 1,215원 / 위안화 6.36위안
> 10년만기 국채 수익률 2.38% / 2년 만기 2.16% / 금 1,921$ 

> 특징:
· 연준 강한 금리 인상 시사 - 국채수익률 급등
· 시장은, 최악의 시나리오 → 최선의 희망 (기대)
· 빅테크 주도 상승 - 나스닥 14,108P로 하락 추세 상단 돌파
· 알리바바 자사주 매수 규모 확대 - 중국 테크주 급등
· FAANG +2%대 상승, 테슬라 +7.91%



◈ 전일 국내 시장 흐름과 특징 ◈
> 코스피 +0.89% (2,710P) / 코스닥 +0.68% (924P)
> 수급 : 개인 -1,855억 / 외국인 +2,195억 / 기관 -323억

> 특징 : 
· 유가 재상승, 국채수익률 급등 → 선반영 인식 ?
· 금융, 자동차 강세
· 신정부 테마, 원자재 가격 상승 테마 강세



◈ 오늘 시장 전망과 투자전략 ◈ 
경기 우려 지속 → 1분기 경기지표, 기업 이익들 전망 하향 → 전망과 실체 발표치의 차이에 따른 등락

기술적 위치, 추세 하락 상단, 박스권 상단
나스닥, 코스닥 돌파 시도 → 돌파 수 반락 → 등락 박스 → 1분기 경기 지표 및 기업 실적에 연동

우크라 전쟁 종전 회담 / 미국 금리 인상 변수는 5월 FOMC
당분간은 1분기 실적에 연동한 종목 장세



 시장 이슈 ◈ 
1. 우크라이나 - 러시아  종전 합의 기대
젤렌스키 : 러시아군 철군, 우크라이나 안전 보장 → 나토 가입 철회로 합의
러시아 : 전쟁 예상외로 길어지면서 출구 전략 → 우크라 중립국


2. 알리바바 자사주 매입 규모 확대
기존 150억$ (22년 만료, 61% 소진)
→ 250억 $로 상향 (24년 3월 만료)
52주 주가 -50% / 시총 500조, 자사주 매입 30조
중국 정부의 규제 완화?


3. 일론 머스크 '테슬라 플랜3' 일부 공개
2006년 플랜 1: 가족용 전기차 생산 모델 공개 
2016년 플랜 2: 에너지 생산, 저장, 자율주행차 구상
플랜 3: 기존 상용화 사업 확장 + AI
(우주 탐사, 초고속 지하터널, 휴머노이드 로봇 등 포함)


4. 골드만삭스 - 비트코인 차액 결제 옵션 거래 시작


5. 러시아 중앙은행 - 루블화 국채 재개
3주간 거래 중단 / 제한된 시간 동안 재개


6. 삼성 SDS 블록딜로 하락 - 오버행 우려
삼성 일가 상속세 납부 지분 매각
주식 담보 대출 → 지분 일부 매각 (삼성전자 0.33% 매각?)



※ 인플레시대의 투자 대안 (삼성증권 3월 21일)
FAANG : 성장주, 인플레 시대의 구간에서는 상대적 수익률 저조
장기적으로 승자인 것은 인정 / 경험상 6개월 - 1년 저조

FAANG2 : 인플레 시대의 투자 대안
Fuels(에너지) / Aerespace(방위, 군사) / Agriculture(농업)
Nuclea & renewables(원자력, 재생에너지) / Gold & metals

​FAANG2의 장점 : 전쟁, 인플레 장기화에 대비, 제한적 금리상승 영향
     높은 배당수익률

 

 


● 미국 증시 코멘트

출처 : eBest Global Market Daily / 시황정보 리포트(네이버 증권)

 

 

 

- 특별한 이슈는 없었으나, 지난주의 반등 흐름이 이어지며 주요 지수 모두 상승 마감. 특히 성장주 및 IT 중심의 나스닥(1.95%)이 가장 강세


- 연준 인사들이 매파적인 발언을 이어가며, 미 국채 금리는 강세(10년물 2.38%, +9.3bp /2년물 2.16%, +4.9bp)를 보였음에도 성장주 중심의 상승이 특징


- 유가는 소폭 하락. EU에서 러시아산 원유 수입 금지가 합의에 이르지 못한 영향


- 제임스 블라드 세인트 루이스 연은 총재는, 블룸버그 인터뷰에서, 연준은 인플레이션을 통제하기 위해 공격적으로 행동할 필요가 있으며, 통화정책 전환이 빠를수록 좋다고 발언. 특히 1994년, 그린스펀 의장이 기준금리를 3%에서 6%로 +300bp 인상하며 소프트 랜딩했던 시기를 언급했다는 점에서 인상적


-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는 완화 정책을 제거해야 할 시점이며, 중립 금리 혹은 그 이상으로 금리를 인상해야 한다고 주장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지속되는 가운데, 양국 간 합의 관련 소식은 전해지지 않는 상황. 러시아는 핵무기 사용 여지를 남긴 가운데, 우크라이나 군부에서 러시아 부대의 보급이 3일 치 밖에 남지 않았다고 분석

 

- 가상화폐 강세. 전일 골드만삭스에서, 주요 은행 중 처음으로 비트코인 차액결제 옵션 거래를 시작한 데 이어, 레이달리오의 브릿지워터에서 가상화폐 펀드에 대한 투자를 고려 중이라는 보도 때문. 다만 가상화폐에 직접 투자 계획은 없고, 투자 규모 역시 전체 자산 대비 미미한 수준인 것으로 알려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