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주식/경제를 공부하면서 시황에 대한 부분과 삼프로 TV를 보고 정리한 내용들을 포스팅합니다.
《박병창의 마켓인사이트》
출처 : 삼프로TV
◈ 전일 해외 시장 흐름과 특징 ◈
> 나스닥 -0.40% / 다우 -0.58% / S&P500 -0.04%
> WTI 110.9$ / 달러인덱스 98.5 / 원화 1,220원 / 위안화 6.35위안
> 10년만기 국채 수익률 2.29% / 2년 만기 2.11% / 금 1,935$
> 특징:
· 파월 연설 : 인플레 우려 강조 → 강한 긴축 (50bp 인상 언급)
· 국채수익률 상승 / 10년 - 2년, 금리차 0.18%로 감소 → 나스닥 기준 -1.5% 까지 하락, 후반 낙폭 축소
· 중국 LPR 동결 → 지준율 인하 전망
· 유럽, 러시아 에너지 금수조치 검토 / 사우디 피격 → 유가상승
◈ 전일 국내 시장 흐름과 특징 ◈
> 코스피 -0.77% (2,686P) / 코스닥 -0.49% (918P)
> 수급 : 개인 +8,060억 / 외국인 -4,915억 / 기관 -3,346억
> 특징 :
· 비차익 프로그램 매도 -4,328억
· 연준 인사들 매파적 발언 + 우크라 전쟁 회담 진전 부재
· 나스닥, 지난주 상승으로 조정 하락 예상 반영
· 국제 밀 가격 50% 급등 : 사료, 농업, 비료, 조림 등 급등
→ 주도 주체, 주도 섹터 없는 테마, 저가주들 등락
◈ 오늘 시장 전망과 투자전략 ◈
이례적인 증시 주변의 상황 - 이례적인 (지표) 가격 변화
3월 FOMC / 우크라이나 전쟁 등의 시장 선반영
우려에서 기대로 변환된 심리는 수급의 변화로 지난주 반등
추가 상승, 추세 전환될 모멘텀 부재
경기 우려 지속 → 1분기 경기지표, 기업 이익들 하향 전망
기술적 위치, 추세 하락 상단, 박스권 상단
반등 후 반락 → 등락 박스 → 1분기 경기 지표 및 기업 실적에 연동
실적 시즌 지수 등락 속 종목 장세
◈ 시장 이슈 ◈
1. 파월 의장 연설
5월 자산매각 일정 발표 예정 / 전쟁으로 인플레 악화
연준, 필요한 정책 빠르게 결정 → 필요하면 50bp 금리 인상할 것
인플레의 원인은 팬데믹 + 전쟁
→ 시장은 금리 인상, 경기 위축을 빠르게 반영
2. 3월 1일 - 20일까지 무역적자 20.8억$
수출액 372억$, 10.1% 증가
반도체, 석유제품, 무선통신 기기 증가 / 자동차 (부품) 감소
수입액 393억$로 18.9% 증가
원유 반도체 가스 석유제품 증가 / 기계 자동차 감소
3. 셀트리온, 셀트리온헬스케어 블록딜 추진
테마섹 약 5,600억 규모 수요 예측
4. 오스템임플란트, 횡령 사건 경영진 무혐의 결론 / 감사의견 적정
5. 전기차 폐배터리 연평균 33% 성장, 시장 규모 68조
중국, 국가 주도의 폐배터리 법안 마련 - 중국 기업들 글로벌 선두
현대차 (ESS), 고려아연 (제련기술) 진출
6. GM, 자율주행솔루션 기업 크루즈 지분 80% 확대
7. 테슬라, 전력 반도체 한국에서 생산
부천 온세미컨덕터 SIC 반도체 공장 확장
테슬라에 배터리 공급하고 있는 LG엔솔 SK온 삼성SDI 안정적 공급망
8. LG이노텍 역사적 신고가 경신
21일 +6.02% / 3월 +24% / 구조적 성장
애플 매출 성장 기대 + 반도체 패키지판 성장성
메타버스 성장 (3D 센싱 모듈) + 애플카 전장 부품 기대
9. 삼성전자, 삼성바이오로직스 유상증자 참여
삼성물산, 삼성전자 2조 원 참여, 삼성바이오에피스 인수 및
시설투자 (미국과 유럽에 현지 공장 건설)
10. OLED 르네상스 시대?
스마트폰, TV, 태블릿, 전기차, 메타버스, 인포테인먼트 등
신기술 제품에 OLED 장착 → 소. 부. 장 수혜
(덕산네오룩스, 이녹스첨단소재, 한솔케미컬, 에스에프에이 원익 IPS, AP시스템, LX세미콘, 피앤에이치테크)
● 미국 증시 코멘트
출처 : eBest Global Market Daily / 시황정보 리포트(네이버 증권)
- 주요 지수는 혼조세를 보이는 가운데 모두 하락 마감. 중국에서 비행기 추락 사고 영향으로, Boeing이 포함된 다우가 가장 약세(-0.58%). 유가상승과 파월의 매파적인 연설이 주가 하락 요인으로 작용. 한편 장 막판 지수는 낙폭을 일부 만회
- 유가는, EU에서 러시아 원유 수입금지 검토 소식에 공급 우려 부각되며 상승
- 미국채 금리는 파월 의장의 매파적 발언에 급등. 2년 물 2.12%(+17.9bp), 10년 물 2.29%(+14.0bp) 기록
- 전미실물경제협회(NABE) 컨퍼런스에서 파월 연설이 있었는데, 매파적인 발언이 나타나면서 오후 증시 약세 요인으로 작용. 파월은 보다 중립적인 통화정책으로 신속하게 전환할 명백한 필요가 있으며, 가격 안정에 필요할 경우보다 긴축적인 전환이 필요할 수 있다고 언급. 더불어 향후 FOMC에서 빅 스텝 가능성을 내비치고, 5월 QT시행 가능성을 재차 언급
- 한편 같은 컨퍼런스에서 라파엘 보스틱 애틀란타 연은 총재는 다소 완화적인 발언. 공격적인 금리 인상에 확신을 가지지 못하고 있다며, 올해 25bp씩 6회 금리 인상과 내년 2회 추가 인상을 예상한다고 밝힘. 다만 라파엘 보스틱 총재는 올해 FOMC 투표권이 없음
'시황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3.24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3.24 |
---|---|
2022.03.23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3.23 |
2022.03.21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3.21 |
2022.03.18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3.18 |
2022.03.17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3월 FOMC 결과 (0) | 2022.03.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