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주식/경제를 공부하면서 시황에 대한 부분과 삼프로 TV를 보고 정리한 내용들을 포스팅합니다.
《박병창의 마켓인사이트》
출처 : 삼프로TV
◈ 전일 해외 시장 흐름과 특징 ◈
> 나스닥 -1.20% (11,662p) / 다우 +0.08% / S&P500 -0.39%
> WTI 111.5$ / 달러인덱스 104.2 / 원화 1,280원 / 위안화 6.78위안
> 10년만기 국채 수익률 2.88% / 2년 만기 2.57% / 3개월 만기 1.01%
> 특징:
변동성 축소되었지만, 심리 위축은 지속
중국 경제 지표, 뉴욕 제조업 지수 악화
→ 장기 금리 하락, 단기 금리 상승
테슬라 하락 (-5.88%) 이 시장 하락 견인
러시아 TRS +3.69%, 1,174P, 2월 24일 저가 601P, 23일 1,233P
◈ 전일 국내 시장 흐름과 특징 ◈
> 코스피 -0.29% (2,596P) / 코스닥 +0.37% (856P)
> 수급 : 개인 +645억 / 외국인 -173억 / 국내 기관 -1,008억
////////// (투신 -85억, 연기금 +141억, 사모 +126억, 프로그램 -1,139억)
> 특징 :
미국 반등 → 갭 상승 출발 → 중국 산업 생산 발표
→ 나스닥 선물 하락, 환율 상승 → 주가 하락 반전
식량 국가 이기주의 : 비료, 사료, 수산, 음식료, 농업 등 강세
미국 성장주 변동성, 중국 봉쇄 조치 상황 눈치 보기
◈ 오늘 시장 전망과 투자전략 ◈
매크로, 당분간 빅 이벤트 없이 경기 지표에 관심
인플레 5~6월까지 확인 / 우크라 전쟁, 중국 봉쇄가 관견
나스닥 고점 대비 -30% 후 반등 / 변동성은 점차 축소
투자 심리는 여전히 위축 → 기간 조정
국내, 외국인 수급, 거래량이 관건
대형주 - 환율 하락을 기다리며 등락
중소형주 실적 발표 - 차별화된 등락
소형주 이슈별 테마 형성
→ 저가 매수 심리, 반등 기대는 형성, 그러나 자신감은 부족
◈ 시장 이슈 ◈
1. 중국 산업 생산 지표
소매판매 -11.1% (컨센 -6.6%, 3월 -3.5%)
산업 생산 -2.9% (컨센 +0.5%, 3월 +5.0%)
전력 생산 -4.3%, 고정자산 투자 +6.8%, 민간투자 +5.3% 로 감소
→ 전일 장중 호주달러, 위안화 약세, 나스닥 선물 하락
주택 시장 붕괴 우려 - 모기지 금리 4.6% → 4.4%로 인하
인민은행, MLF 통해 1천억 위안 유동성 공급
2. 글로벌 폐배터리 전쟁
배터리 원자료 가격 급등 - 폐배터리 자원 회수 관심 급등
테슬라, 모든 공장에 폐배터리 시설 도입
삼성그룹, 삼성 SDI - 성일하이텍 - 삼성물산
LG그룹, LG화학 - 벨기에 폐배터리 재활용 기업 인수 추진
CATL, 자회사 '비럼프'로 내재화
테슬라, 폭스바겐, 현대차 등 완성차도 적극 진출
3. 리오프닝 관련주의 실적 흐름
대우조선 1분기 영업손실 -4.701억 (비용 급등, 공사손실충당금)
아시아나 항공 1분기 영업이익 +1,769억 (화묵 4분기 연속 흑자)
제주항공 1Q 영업손실 -789억 / 티웨이항공 1Q 영업손실 -390억
(LCC는 매출은 증가, 이익은 적자, 부채비율 상승, 일부 자본잠식)
월드 디즈니 22년에만 -30% 하락, 실적 회복 지연
→ 매출은 점진적 증가, 당분간 이익은 감소
→ 위기의 시기를 버틸 시간 필요 : 재무상태표, 현금 흐름 중요
4. 만년 저평가 지주사, 재평가 기대
금리 상승, 경기 침체 우려 속 밸류에이션 부담 적은 주식 관심
지주사 가치 = (개별 영업가치 + 자회사 지분가치) * 할인률
최근 할인률 40% → 60%로 상승
5. 워렌버핏, 1분기 평가 손실 속 주식 대량 매입 지속
정유 원자재 비중 확대, 성장주는 저가 매수
"모두가 비관할 때 기회가 있다"
● 미국 증시 코멘트
출처 : eBest Global Market Daily / 시황정보 리포트(네이버 증권)
- 저가 매수 유입과, 중국 상하이 점진적 봉쇄 완화 기대감 등으로 주요 지수 모두 큰 폭으로 반등. 하락폭이 가장 컸던 나스닥이 가장 큰 상승폭 기록
- 주가 반등하며 국채 금리 상승(2Y +1.9bp, 10Y +7.1bp)했고, 달러 소폭 하락
- 중국 상하이 부시장이 13일 방역 프리핑에서 이달 중순까지 "사회면 제로 코로나 (격리, 통제 구역을 제외한 일반 지역의 확진자 0명)" 달성 시 점진적으로 봉쇄를 풀 겠다는 가시적 목표 제시. 15일 방역 브리핑에서는 16일부터 점진적으로 봉쇄 해제 시행 발표. 점진적 개방, 제한된 인구, 효과적 통제 원칙 바탕으로 상업 기능 회복 추진 의사 밝힘
- 러시아 석유 금수조치에 대한 헝가리의 반대에도 불구, EU가 5월 내 단계적 금수 조치 추진 의지를 밝히면서 WTI 원유 4.1% 상승. 중국 봉쇄 완화에 따른 수
요 회복 기대감 또한 상승 압력으로 작용
-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는 2011년 이후 최저수준인 59.1pt로 컨센서스(64.1pt), 전월 수치(65.2pt) 하회. 12개월 기대인플레는 5.4%로 전월과 동일
- 미국 4월 수출물가지수는 0.6% MoM으로 컨센서스(0.7% MoM) 하회, 전월 4.1% 에 비해 상승폭 축소. 수입물가지수 0.0% MoM 컨센서스(0.6% MoM) 하회. 에너지 수입 물가가 -2.4% MoM 기록하면서 전달과 같은 수준 유지
-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준 총재는 연준은 매우 높은 인플레이션을 낮추기 위해 필요한 일을 할 것이라는 확신이 있다고 발언. 보다 완화적으로 행동하고 싶으 나, 그러기 위해선 공급망 상태가 정상이 되어야만 가능하다고 언급
'시황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5.19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5.19 |
---|---|
2022.05.18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5.18 |
2022.05.16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1) | 2022.05.16 |
2022.05.13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5.13 |
2022.05.12 시황요약/정리] 박병창 마켓인사이트 (0) | 2022.05.12 |
댓글